배병일영남대법학전문대학원교수.jpg
▲ 배병일 영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된장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식품이다. 된장은 가을철 입동 전후에 콩을 삶아서 찧은 후 덩어리를 만들어 따듯한 방에서 2주 정도 띄워 말린 메주를 이른 봄까지 보관하다가, 이 메주로 만든다. 메주로 된장을 담근 뒤에 2달 정도 지난 이후에 간장 물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장독 등에 보관한 발효음식이 된장이다. 일반적으로 된장은 찌개로 만들어 먹거나 국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이를 모두 된장찌개나 된장국이라고도 하지만, 그냥 된장이라고도 한다. 요즘 아이들은 된장을 먹지도 않고 그저 맛깔스런 패스트푸드 등을 먹으면서 끼니를 잇기도 하기 때문에 된장의 오묘한 맛을 모르고 살아가고 있다. 그렇지만 된장은 각종 식품실험에서 절대적인 항암 식품으로 보고되기도 하여 기성세대에게는 버릴 수 없는 식품이다. 요즘은 된장을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거나 종교시설 등에서 친환경으로 만들었다고 하면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된장은 역시 각 가정에서 엄마의 손맛으로 제대로 만들어야 맛이 나고, 특히 된장은 집집마다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기법과 내용물을 첨가함으로써 전통적인 맛과 향기를 접하고 풍기게 된다. 최근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집에서 된장을 만든다는 것이 힘들어지고, 그래서 제품화된 된장을 사 먹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된장은 가을에 메주콩을 쒀서 메주를 만들어서 여러 달 보관하다가 봄에 된장을 담근 후 40일간 발효시킨 후 만드는 것이라는 점에서 해를 넘겨서 만드는 월동 식품이다. 어릴 적에 가을에 메주콩을 가마솥에 가득히 삶아서 수십 개의 메줏덩이를 어린 발로 밟아서 만들고, 이를 겨울 내내 초당 방에서 쿵쿵한 냄새가 나도록 보관한 후에 초봄에 장독대에 있던 큰 항아리에 된장을 담그던 기억이 있다.

구순에 가까운 모친은 매년 이제 마지막 담그는 된장이라고 하면서 손수 된장을 담근다. 누나나 동생 등 여형제들은 각자 된장을 담가 먹기에, 모친이 담그는 된장은 나와 남동생 집에서만 먹을 양이면 충분하다. 마침 올해 된장을 담그는 날에는 시간적 여유가 있어서 내가 거들게 되었지만, 그만 약간 잡음이 생기고 말았다. 힘을 쓰는 일이라서 장독대에 있는 단지를 닦고 된장독에서 된장 건지는 일을 내가 도맡아 하게 되었다. 된장 단지 속에서 꺼낸 된장을 장독대에 있는 단지에 담으려고 했더니, 마침 그에 알맞은 단지가 없었다. 그래서 노모의 확실한 지시 아래 부득이 조금 큰 단지에 된장을 담았다. 속으로는 이렇게 작은 양의 된장을 왜 이렇게 큰 단지에 넣는가 하는 의문이 생겼지만, 모친의 엄명에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된장을 담근 지 두어 달 지난 이후에 갑자기 모친이 된장을 누군가 퍼갔다고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그러려니 하고 지나쳤지만, 다른 자식에게까지 따지게 되자 문제가 심각해지고 말았다. 간장은 장남을 비롯한 아들에게만 공짜로 줄 수 있고, 딸들에게는 단돈 천 원이라도 돈을 받고 주어야 한다는 굳은 믿음을 모친은 가지고 계신다. 그래서 모친에게 강한 어필을 하면서 된장 담글 때 내가 보니까 워낙 단지가 커서 된장이 반밖에 차지 않았고, 그래서 내가 된장 단지가 너무 크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말씀드렸지만, 모친은 막무가내로 된장 양이 지나치게 적은 걸 보니, 누군가가 된장을 퍼갔다고 주장하셨다. 그래서 부득이 내가 퍼갔다고 했더니, 그렇다면 지난해 된장에 올해 된장을 섞어서 먹으면 안 된다고 신신당부를 하셨다. 아무래도 부실한 자식이 못 미더운지 며느리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서 확인까지 하셨다. 그러나 모친의 추궁에 여러 차례 장남이 거짓말로 위기를 모면한다는 사실을 익히 알고 계시는 모친은 이를 믿지 못하고, 다른 자식들에게 된장을 가져가지 않았느냐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되자, 나로서는 혹시 모친이 아픈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