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 2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영훈)은 2013년부터 실시한 금동불상 조사 사업의 결과가 담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 2’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금동아미타삼존불상과 금동관음보살좌상 1구 등 4점의 사진, 3D 스캔 사진과 실측도면, 복장물(腹藏物·불상에 생명력과 신성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 안에 넣는 발원문, 경전, 직물, 곡물 등의 상징적인 물품 또는 그 행위)의 기초 자료, 성분 분석 결과 등을 수록했다.

보고서에 수록된 금동아미타불좌상(유물번호: 덕수71), 금동관음보살입상(덕수3363), 금동대세지보살입상(덕수3364)은 서로 양식적으로 유사하고 인상이 비슷해 일괄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됐으나 박물관에 입수된 경위가 달라 판단에 제한이 있었다.

이번에 복장물과 금속 성분 분석을 통해 세 점이 같은 공방에서 일괄로 조성된 삼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살상의 복장물을 조사한 결과 삼존불의 제작과 복장물 납입은 1333년에 이루어졌으며, 불상 제작의 주요 발원자는 장현(張鉉)과 처 선씨(宣氏)이고 복장물 납입에는 김진, 이겸(李謙) 등 고위 관료를 포함한 수백 명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선 초기에 제작됐을 가능성이 높은 금동관음보살좌상(덕수801)에서는 ‘조상경(造像經)’의 내용을 충실히 따라 납입된 후령통(喉鈴筒·동서남북·중앙을 상징하는 다섯 가지 보배를 넣는 용기로, 복장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 진언(眞言·불교에서 의식 중에 외는 일종의 주문 ), 직물 등의 복장물이 발견됐다. 이 중에는 조선 전기 직물 편과 조선 후기 직물 편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복장물을 최소한 두 차례, 즉 15세기와 17세기에 납입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 보고서에는 4점의 불상 안에서 발견된 복장물에 대한 상세한 기술과 직물류, 목재 및 유기물 분석 결과를 포함한 조사 내용이 포함됐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