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기가 침체된 구미지역 기업체의 8할 이상이 고용에 부정적으로 조사됐다. 자동 퇴직을 고려하면 고용 절벽 현상이 현실화된 것이다.

구미상공회의소가 지역 내 85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1/4분기 기업경기전망 조사’에서다. 구미상의에 따르면 BSI 전망치가 80으로 나타나 기업경기도 녹록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78, 기계·금속·자동차부품 89, 섬유·화학 78, 기타 71로 나타나 전 업종에서 악화전망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올해 출발부터 지역 경기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것이다.

한국 경제의 고용 악화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고용 악화는 성장이 지체되면서 일어나는 고질적인 난제다. 정부는 올해 한국 경제가 2.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일자리 증가 규모도 26만 명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률 1%당 10만 명 정도 취업자가 늘어난다는 얘기다.

성장에 따른 고용창출력도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는 성장률 1%당 고용 증가 규모가 11만2천 명으로 추정됐다. 5년 전인 2012년에는 경제가 전년 대비 2.3% 성장했지만, 일자리는 43만7천 개 늘었다. 성장률 1%당 19만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본 셈이다. 고용 창출력이 5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자영업자 폐업도 늘고 산업 구조조정까지 겹치면서 고용악화가 더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구조의 틀 자체가 바뀌면서 고용 창출 면에서는 비관적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한다. 인공지능, 로봇 등이 인간한테서 양질의 일자리까지 빼앗아 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리 정부의 ‘2017년 경제정책 방향’에 담긴 4차 산업혁명 대응 방안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올해 고공 철탑 약 4만기를 드론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교통이 불편한 도서·산간 지역을 위주로 드론을 이용한 우편배달 서비스도 시범 도입된다. 지난해 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2020년까지 선진국에서만 710만 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빈익빈 부익부의 소득 양극화와 함께 고용악화는 서민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주범이다. 지금부터 대비하지 않으면 사회 혼란을 낳을지도 모른다. 포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와 정부는 ‘경제정책 방향’을 고용 창출로 짜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