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구·경북 모두 청년 실업률이 10%대에 육박하는 등 오랜 경기침체가 고용시장에도 짙은 먹구름을 드리웠다.

11일 동북지방통계청의 ‘2016년 12월 및 연간 대구·경북지역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와 경북의 실업자는 5만4천명과 4만6천명으로 지난 2015년보다 9천명(19.8%)과 2천명(4%) 각각 늘어났다.

실업률은 4.2%와 3.2%로 전년에 비해 0.7%p와 0.1%p 각각 상승했다.

특히 2016년 만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 실업률이 10%를 넘어서면서 청년실업 문제의 심각성이 현실로 나타났다.

대구와 경북지역 청년 실업률은 12%와 10.3%로 전년과 비교해 2%p와 1.4%p 각각 상승, 전국 청년 실업률 9.8%보다 높아 지역의 청년 고용시장이 심각한 상황임이 여실히 드러났다.

이는 대구와 경북지역의 청년층이 인턴이나 계약직보다 정규직을 선호하지만, 눈높이에 맞는 자리가 없어 취업하려는 인구 즉 취업 준비생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구지역은 산업 구조상 청년층이 선호하는 굵직한 대기업이 적은 데 반해 중소기업이나 숙박음식업 등 소규모 사업체의 수가 많아 청년 실업률이 경북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청년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대한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대구와 경북은 취업자와 고용률에서 대조를 이뤘다.

이 기간 대구의 취업자는 123만4천명으로 전년과 같았지만, 고용률은 1년 전과 비교해 0.1%p 하락한 59.1%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북은 고령층 중심의 농촌 인구에 힘입어 취업자가 142만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8천명(0.5%) 늘었으며, 고용률은 62.1%로 전년 대비 0.1%p 상승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통계청은 산업 구조적으로 경북은 농업이 큰 비중을 차지해 나이 제한에서 자유롭지만, 대구의 경우 여전히 제조업이 강세라 퇴직 후 일자리를 얻기 힘든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따라서 60대 이상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나 교육 및 훈련에도 힘을 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동북지방통계청 관계자는 “백세시대로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지만 이에 맞는 일자리는 많지 않아 대구에서 퇴직 후 경북으로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많다”면서 “대구 역시 상황을 인식해 60대 이상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전국의 ‘2016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실업자는 101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6천명(3.6%) 늘어나 실업자 통계가 바뀐 2000년 이후 실업자가 100만명을 돌파한 것은 처음으로 확인됐다.

또한 연간 실업률은 0.1%p 상승한 3.7%로 2010년 이후 최고 수치며, 이 중 청년 실업률은 9.8%로 2015년 최고 기록이던 9.2%를 1년 만에 갈아치웠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