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대권정국’에 주연으로 떠오르면서 야권후보들이 독주하던 대선 구도의 급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탄핵사태를 거치며 지리멸렬 범여권에 ‘유력 주자’가 탄생함으로써 보수(우파)진영도 뭉치면 집권이 가능하다는 ‘진영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기 대선 기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반기문 귀국’이라는 새로운 변수로 정계 세력재편 가능성과 함께 짧은 대선 검증 기간으로 향후 정권의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다는 부정적인 진단까지 나온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거치며 잔뜩 위축된 우파진영에서는 단순한 기대감을 넘어 ‘구세주’ 수준으로 환영하며 전국에서 지지단체가 쏟아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을 접한 문재인 이재명 안철수 등 국민적 지지도가 높은 대권후보를 갖춘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벌써부터 검증의 칼날을 세우고 있다.

우선 반 전 총장은 귀국 일성으로 ‘통합정치’을 제시하면서 기존 대선주자들과는 차별화된 전략적 행보를 꾀할 것으로 정가는 관측하고 있다. 유동 가능성이 높은 정당 등과는 당분간 거리를 둔 채 10년간 국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일반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형식을 취하며 정국 추이를 관망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기 대선이 점쳐지는 만큼 반 전 총장의 ‘잠행’이 오래갈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이달 말 설 연휴가 끝나면 본격적인 세 불리기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 전 총장의 선택지는 두 개다. 바른정당 그리고 새누리당 충청권과 일부 중도 성향의 수도권·영남 의원과 함께하는 범여권 후보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게 정가의 관측이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기존 대선판을 흔들어 정계개편의 핵이 되기에는 부족하다. 정가에서 거론되는 이른바 ‘제3지대 구축론’이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 민주당 손학규 전 대표가 연대하는 제3지대와 연대하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끊임없이 나오는 이유다. 이른바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와 더불어민주당 친문(친문재인)계를 제외하고 반 전 총장, 안·손 전 대표, 바른정당 등이 연대하는 ‘빅텐트’다.

안 전 대표는 ‘자강론’을 앞세우며 반 전 총장과의 연대론에 선을 긋고 있지만 정계개편이 본격화 하면 지역구 의원의 다수를 이루고 있는 호남 중진의원들을 중심으로 반 전 총장과의 연대론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꼭 20년 전 성공한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의 ‘2017년 버전’이다. 지역적 조합으로 해석하면 ‘충청-전라 연대’다. 이 경우 야권으로 연대가 어려운 바른정당도 자동 연대 대상이다. 물론 반 전 총장의 정치참모들의 구상단계이기도 하다.

이 역시 지역적 조합에 그친다면 정치공학이라는 비판을 피해갈 수 없다.

DJP 연합이 내각제를 고리로 연대했듯이 이번에도 분권형 개헌이 핵심 고리로 등장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마침 ‘87년 체제’의 30년을 맞는 올해 박 대통령 탄핵으로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생생히 목격하고 있다.

이 경우 대표적 개헌론자인 민주당 김종인 전 대표 등이 참여하며 민주당 일각도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 구축으로 반-안-손-유(승민) 등 다자구도의 국민경선으로 바람을 일으킨다는 것. 물론 이 경우는 반 전 총장이 기존 정당에 들어가 정면승부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제3지대든, 기존 정당 접수든 반 전 총장이 먼저 넘어야 할 장벽은 검증이다. 특히 반 전 총장의 귀국길에 박연차 금품수수설과 동생과 조카가 기소된 것은 검증의 서막이다. 1997년 대선에서 이회창 전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 총재도 지지율 1위를 달리다가 아들 병역문제로 결국 검증의 벽을 넘지 못하고 패배했다.

반 전 총장의 최종 선택은 대(對) 국민행보를 하며 대중의 풍향계와 정계의 이합집산을 보아가며 결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정모 기자
김정모 기자 kjm@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으로 대통령실, 국회, 정당, 경제계, 중앙부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