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붉은 닭의 해 정유년이 밝은지도 보름이 지났다.

닭은 예로부터 부(富)의 상징이고 인간의 본성을 깨닫게 했다.

닭은 알을 많이 낳아 인간을 풍요롭게 하고 울음소리로 새벽을 깨우는 신비한 존재였다. 그래서 종교나 무속, 신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귀신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을 나누는 기준은 닭의 울음소리였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 관장이 학술 강연에서 발표한 ‘여명(黎明)과 축귀(逐鬼)의 계명성(鷄鳴聲)’에 포함된 내용이다. 선조들은 태양을 부르는 빛의 전령, 닭의 울음소리가 도깨비나 귀신으로 하여금 자취를 감추게 만든다고 생각했다.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천 관장은 “닭은 ‘주역’의 팔괘에서 손(巽)에 해당하는데, 손의 방위는 남동쪽으로 여명이 시작되는 곳”이라며 “닭은 새벽을 알려주는 신비한 영물로서 태양의 새”라고 설명했다. 무속 신화나 건국 신화에서 닭 울음소리는 임금의 탄생이나 천지개벽을 알리는 태초의 소리이기도 했다.

무속은 물론 불교, 서양에서 건너온 크리스트교에서도 닭은 독특한 상징적 의미로 받아들인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인 자승 스님은 “불교에서 닭은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는 군다리보살의 화신이며 약사여래를 수호하는 12나한 가운데 진달라를 상징한다”며 “진달라는 부정과 불의로 인한 고난으로부터 일체중생을 구제하시는 호법신장”이라고 강조했다.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성경에서 베드로는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했다가 수탉의 울음을 통해 죄를 깨닫는다. 어둠을 몰아내고 빛을 연다. 죄와 죽음으로부터 구원과 생명을 얻는다. 부활을 의미한다. 초대교회 신자들의 묘석에 수탉 그림을 새긴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유럽 교회의 종탑 꼭대기에 놓여진 풍향계도 수탉 모양이다. 먼저 깨어나 그리스도의 빛을 알리는 ‘성 베드로 수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우리 민족에게 닭은 소나 돼지처럼 친근한 존재다. 그래서 옛 풍속도에도 닭을 그린 그림이 많다.

유럽에도 몇몇 나라들은 특히 닭을 좋아한다. 포르투갈과 프랑스이다.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포르투갈에서 수탉은 희망의 상징이다. 전설에 의하면 억울하게 죄를 뒤집어 쓴 청년이 모함을 당해 해명할 길이 없이 교수대에 매달렸다. 억울함을 호소하는 가족을 상대로 판관은 식탁에 오른 죽은 닭이 울면 용서해 주겠노라고 했다. 그런데 사형 집행 전에 신기하게도 죽었던 닭이 힘차게 울었고 청년이 살아나왔다는 전설이다. 그 곳에서는 모든 선물용 물품이 수탉이 그려져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신대륙 탐험에 나섰던 포르투갈은 대항해 시절의 전성기를 누리기도 했다.

프랑스는 닭이 상징이다. 이는 백년전쟁과 연관이 있다. 백년전쟁 이후 경제가 힘들어진 프랑스는 앙리 4세가 왕이 되자 재무부 장관에게 프랑스 국민이 일주일에 한 번 주말에 닭을 먹을 수 있게 하라고 명령을 내린다. 이 그 때문에 경제가 살아나 닭이 경제성장의 동력이 돼 프랑스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그래서 유럽에는 성당 등 종교 건축이나 도자기, 오브제 등 장식에 닭 문양이 자주 등장한다.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닭과 관련된 유럽의 도자기와 오브제. 사진=조용준 문화탐사 저널리스트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