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전체인구가 줄었다고 한다. 지난 1년 사이 2천400여 명이라는 적지 않은 인구감소다. 포항과 구미, 안동 등 경북 도내 주요 도시의 인구가 감소한 것이 주원인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주민등록 인구는 2015년 말 270만2천826명에서 2016년 말 270만398명으로 2천428명 감소했다. 주요 도시별로 보면 도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포항은 지난 한 해 동안 51만9천584명에서 51만6천775명으로 줄었다. 철강경기 침체로 구조조정 등으로 고용감소의 영향으로 보인다. 꾸준히 인구가 늘던 구미는 구미공단 불경기 등으로 41만9천915명에서 41만9천891명으로 소폭 줄었다. 안동도 16만9천221명에서 16만8천798명으로 떨어졌다.

김천시, 예천군 등 인구가 늘어난 지역도 있다. 도내 시·군 23곳 가운데 6곳이 인구가 증가했다. 혁신도시가 조성된 김천은 14만132명에서 14만2천256명으로 2천124명 늘어났다. 경북도청 신도시가 조성된 예천은 4만4천674명에서 4만6천166명으로 1천492명, 경산이 25만6천888명에서 25만8천37명으로 1천149명 증가했다. 그 외 칠곡, 성주, 군위 등 대구 구미의 위성지역이 소폭 늘었다.

‘인구절벽’이라는 우리 사회의 우려가 경북에서 현실화된 것이다. 도내 인구감소는 지역경제의 장기 침체가 빚은 결과다. 그래도 혁신도시가 조성된 김천과 신도청이 조성된 예천군 등은 인구가 증가했다니 절망만은 아니다. 그만큼 새로운 기회를 만들면 가능하다는 방증이다.

경북 도내 인구감소는 앞으로도 당분간 피하기 어려울 것 같다. 당장 올해부터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인구절벽이 현실화한다.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2015~2065년)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지난해로 정점(3천763만 명)을 찍었다. 올해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2020년대부터는 연평균 30만 명 이상씩 급감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은 경제활동 인구 감소로 세원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이런 악순환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난 10년간 저출산과 고령화 방지를 위해 온갖 정책을 했지만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제3차 저출산 기본계획’을 발표했음에도 출산율이 되레 떨어져 보완대책까지 내놓았을 정도다.

출산과 고용에 대한 정책과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목표 아래 양육시설은 크게 늘리고 아동양육 비용은 대폭 낮춰 출산장려에 나서야 한다. 인구 구조 변화에 맞춘 산업구조 개편과 고부가산업 발굴도 시급하다. 당국은 절박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