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폴리텍대학 박종갑 교수
대한민국 국민 1인당 소득이 100달러에서 3만 달러 시대로 진입하면서 급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직업교육을 통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직업’을 가지기 위한 기술 위주의 정책을 꾸준히 펼친 결과라 생각한다.

이에 1970년대 초부터 국제원조 기금과 차관을 빌어 우리나라에 직업교육 훈련기관을 설립하고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을 이루면서 기술인력을 바탕으로 국가 경제가 부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이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빈곤층과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계층, 최근 들어 청년실업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들을 위한 저소득계층과 장애인, 노령연금 등 지원정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는 당연히 국가가 책임지고 수행해야 할 정책이지만 그중에서도 청년실업 대책으로 일부 지자체에서 매달 취업지원 및 노력의 대가로 지원금을 주고 있다. 과연 일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미래가 있는 청장년들에게 단순한 용돈 정도를 준다고 해서 효과가 있을까? 오히려 이들에게 꿈을 접는 기회로 만들어지지는 않을까? 우려된다.

이러한 예산을 그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소질을 키울 수 있는 직업교육과 실무능력을 키우고 일자리를 만들고 취업의 기회를 확대하는 데 예산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한국폴리텍대학은 직업교육 특성화 대학으로 2년제 산업학사 학위과정과 함께 국비 무료과정인 1년제 기능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폴리텍대학은 대한민국 대표 직업훈련기관으로서 취약계층 청소년의 취업을 위해 수급권자나 장애인 등에게 모집 정원의 30% 이내에서 우선 선발하는 우선 전형과 정원외 특별전형을 하고 있어 대한민국 최고의 복지정책을 수행하는 교육기관이다.

이제는 가정형편이 어려워 대학을 못 가는 시절은 아니다. 대학입학과 동시에 국가에서 지급하는 국가장학금은 저소득계층을 위한 장학금으로 등록금 100%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폴리텍대학 구미캠퍼스는 입학해서 졸업까지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능력을 개발하고 키워주는 교수 1인당 15명 내외의 소그룹 지도교수제를 운용하고 있다.

교수는 자기가 맡은 소그룹 학생들을 인성에서부터 전공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상담과 지도를 하고 있고 이들의 취업까지 알선하며 사후지도까지 책임지는 제도이다.

또한 학기 중에는 프로젝트실습을 통해 본인이 제작하고 싶은 아이디어 제품 및 프로젝트 작품을 만들어 감으로써 학업의 성취감과 자신감을 채워 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렇게 4학기를 지나면서 본인의 능력과 소질을 계발하고 실무능력을 키워서 소그룹지도교수가 추천하는 기업체에 졸업도 하기 전에 현장실습을 통하여 실무능력을 익힌다. 그 결과 졸업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는 한국폴리텍대학만의 교유한 FL(Factory Learning) System 학사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