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대구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의 지역내총생산 부실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도무지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 절망적이다

22일 동북지방통계청의 ‘2016년 대구·경북 주요 경제지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대구의 1인당 GRDP는 1천992만 원으로 전국 평균 3천89만 원의 64.5% 수준에 머무르며, 전국 시·도 중 가장 낮았다. GRDP는 시·도 단위별 생산액·물가 등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 해당 지역의 총생산액을 추계하는 시·도 단위의 종합경제사정을 말해주는 지표다.

2015년 고용률도 대구는 59.2%로 전국 평균 60.3%에 비해서도 1.1%p 낮아 고용사정이 악화됐다. 또한, 2015년 실업률은 대구가 전년보다 0.4%p 하락한 3.5%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대구가 10%로 전국 9.2%를 웃돌며 강원·인천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대구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굵직한 대기업이 적은 데 반해 중소기업이나 숙박음식업 등 소규모 사업체 수가 많아 청년 실업률이 높은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대구 자영업자의 경기상황도 좋지 않다. 2015년 대구의 매장면적 3천㎡ 이상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3조9천330억 원으로 서울·경기 등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았었다. 이러니 대구 자영업자의 소득이 낮은 것이 당연하다.

대구지역의 지역내총생산 부실은 고용 등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이 분명하다. 지역내총생산을 높여 소비심리를 살려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구조의 틀을 바꾸기 위한 대응전략이 뒤따라야 할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소비 감소가 서비스업 매출 감소 등의 악순환 양상을 보이며 지역내총생산과 고용 등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 경제구조의 취약성과 고질적인 허약함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경제 구조의 틀을 바꾸는 전략이 절실하다. 구조적인 변화를 가져올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를 마련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대구시나 지역 국회의원들은 외부 환경 탓만 반복하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들과 대구시는 요란한 구호를 내세우기보다 실질적인 생산을 높이는 데 앞장서야 한다. GRDP를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정녕 없는가.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