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호.jpg
▲ 김종호 호서대교수 법학박사
초대 이승만 대통령부터 지금까지 모두 11명의 대통령을 경험한 우리는 그들 모두를 실패한 대통령으로 평가하지 어느 한 분이라도 성공한 대통령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이런 사실로부터 우리 사회 구성원들은 지도자 특히 대통령이 갖춰야 할 리더십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과의 필립 짐바르도 교수팀은 지도자의 역할과 권력의 본질이 어떤 것인지 밝히기 위해 실험을 했다. 실험은 참가자들에게 각각 죄수와 교도소장의 역할을 부여하고 그들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었다. 실험에 참여한 죄수는 얼마나 혹은 어느 수준까지 복종하는지, 그리고 교도소장은 어느 정도로 혹은 어느 수준까지 권력을 행사하는지 측정하는 것이었다. 실험은 애초 2주간 실시하려 했다. 그러나 예상보다 참가자들의 실험에 몰입하는 정도가 심해져서 중간에 멈추었다. 교도소장 역할을 맡은 참가자는 시간이 흘러가면서 면회시간도 자기 맘대로 통제하고, 죄수들에 대해 점점 더 폭력적으로 변해 갔으며, 제멋대로 행동해 급기야 협박과 학대 심지어 죄수에 대해 신체상해까지 가해 실험을 포기해야만 했다. 권력을 가진 자가 통제받지 않으면 권력을 남용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서 확인한 것이다.

짐바르도 교수는 이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이 부정적인 집단 환경에 의해 점점 타락해 가는 상황을 보면서 이를 루시퍼(Lucifer) 효과라 불렀다. 이는 유순한 사람이라도 강력한 권력을 갖게 되면 통제되지 않는 사회적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타락한 사람으로 변화돼 가는 현상에 대해 원래 천사였지만 사탄으로 변한 성경의 루시퍼란 인물에 빗대어 부른 것이다. 그렇다. 인간은 권력을 추구하고 원하는 권력을 갖게 되면 마침내 이를 남용하게 된다는 것은 위와 같은 실험이 아니라도 역사를 통해 우리는 수없이 경험하였다.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본질적으로 권력에 주려있다. 물론 권력의지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철인 니체는 사람이 권력의 의지를 잃는다면 누구도 살아남을 수 없다고 믿었다. 권력은 사람들로 하여금 수동적으로 남아있기보다는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만든다. 권력을 가진 자는 대개 성취 지향적이어서 일상이 바쁜 사람들이다. 권력 지향적인 성향을 띤 사람은 모험적이고 부적절하거나 비윤리적인 경향을 지니며 때로는 감정적인 반응을 일삼기도 한다. 일부 사람들은 권력에 대한 욕구로 인해 자신들이 가진 권한의 범위를 넘어서 부적절한 행위를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권력을 구하는 정치인들에 대해 두 눈을 부릅뜨고 그들을 감시해야 한다.

한 집단 내에서 발생한 일에 대한 책임은 흔히 권력과 함께 따라다닌다. 어떤 집단이든지 정치인, 집행관, 사장, 장군 등과 같은 권력을 가진 자들은 부하나 피고용인과 같은 낮은 계급의 사람들보다 분명 책임이 더 크다. 사람들의 지탄을 받는 많은 사악한 행위들은 그 악행을 일삼는 자들의 개인적 의지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어떤 의미에서는 사회적 산물이다. 왜냐하면, 복잡한 일련의 사회적 사건들의 상호작용 결과로 권력 담당자들은 만연히 기막힐 정도의 악행들을 저지르기 때문이다.

저명한 정치학자를 포함해 많은 사람이 훌륭한 지도자란 부하들이 복종하도록 조작하고 통제하며 강요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호치민은 지도자란 마치 목수가 나무를 사용할 줄 알아야 하는 것처럼 사람을 만들고, 변형시키고, 변화시킬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리더십은 권력의 한 형태이지만 사람들 위에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 함께하는 권력 즉, 지도자와 구성원들 간의 상호적인 관계를 말한다. 지도자가 되는 것은 대중을 움직이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더십은 권력의지가 발현돼 나타난 지도자의 행동양식이다. 참된 용기와 주도성을 가진 지도자여 암울한 대한민국을 어서 변화시키라.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