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은 경상북도 청사가 지난해 2월 12일 대구(산격동)에서 안동·예천으로 옮긴 지 1주년이다. 신도시는 도청 교육청 등 2대 관공서 외에 민간아파트와 오피스텔, 단독주택, 상가 건물이 곳곳에 들어서면서 도시 틀을 갖춰가고 있다. 신도시의 인구도 조금 늘었다. 그러나 도와 유관한 기관 이전이 조속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데다 편의시설 부족으로 신도시가 활기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안동·예천 신도시 중심에 자리 잡은 도청은 외관상 웅장하다. 다만 신도시의 자족 기능이 아직은 도민들의 급한 마음에는 따라가지 못해서 기대 반 걱정 반이다. 그동안 부정적인 요소가 있었음은 부인할 수가 없다. 특히 외지 투기꾼들에 의해 조장된 신도시의 지가가 하락세로 돌아섰다는데 당연한 귀결이다. 한옥 택지 공개모집에도 실수요자는 손도 못 대고 대부분 투기꾼이 사서 웃돈을 요구하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유관기관 이전과 편의 시설 확충, 그리고 대규모의 민간기업 공단 유치는 인구증가와 신도시 성장에 필수 요건이다. 신도시 인접 경제권 조성도 중요하다. 그래서 신도시와 인접한 경북 북부권을 한반도 허리경제권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연구기관의 주장이 의미 있게 다가온다. 대구경북연구원은 ‘경북 북부권을 한반도 허리경제권의 중심으로’라는 주제의 연구 결과물에서 도청 신도시와 세종시를 연계하는 신국토발전 축을 구축하고, 도청 신도시의 중추관리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말까지 27개 기관이 신도시로 이전했다. 올해 22곳 이상 신도시에 이전 계획이다. 도는 안동·예천 도청 신도시 10.966㎢를 3단계로 나눠 2027년까지 4만 가구에 10만 명이 사는 자족도시로 만들 계획이다.

국토 중부와 남부의 중간지대에 자리 잡은 도청신도시권은 하기에 따라서는 밝은 희망도 가질 만하다. 신도청은 행정수도인 세종시와 위도(북위 36도)가 비슷하다. 수도권과의 접근성도 높아졌다.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도청을 비롯한 관련기관 그리고 도민이 지혜를 모아나가야 한다. 도청 신도시를 천혜의 지리적 여건과 현대 기술이 결합 된 첨단 도시, 한국 제일의 명품도시로 육성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