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고국 표석

다음은 이서국(伊西國) 이야기다. 먼저 ‘삼국유사’의 기록이다.

신라 노례왕(弩禮王) 14년(서기 37년)에 이서국이 와서 금성(金城)을 공격하였다. 운문사(雲門寺)에 예로부터 전하는 《제사납전기(諸寺納田記)》에 이르기를 “정관(貞觀) 6년 임진년(壬辰年, 631년)에 이서군의 금오촌(今?村) 영미사(零味寺)의 납전(納田)”이라 했는데, 금오촌은 지금의 청도(淸道) 땅이니 곧 청도는 옛날의 이서군이다.

청도에 이서국이 있었는데, 세력이 강성하여 한때 신라의 수도인 금성까지 공격한 적이 있었다는 기록이다.

그런데 『삼국유사』 「미추왕죽엽군조」와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유례(儒禮)이사금 14년(297)에 이사국의 금성 공격의 기록이 있다. 이서국이 신라를 깊숙이 공격하자, 귀에 대나무 잎을 꽂은 군사들이 나타나 이들을 무찔렀는데 다음날 미추왕의 묘에 대나무잎이 많이 떨어져있더라는 설화다. 이서국이 금성을 공격한 시기가 노례왕 14년(37)인지 유례왕 14년(297)인지 혼동될 여지가 있다. 노례왕과 유례왕은 이름이 비슷하여 실제 혼동될 여지가 있다.
 

일연선사는 이서국에 이어 오가야의 존립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서국과 가야국이 모종의 관계가 있는 것을 암시하는 듯하다. 『동국여지승람』 등에 의하면 정견주모가 천신 이비가지에 감응하여 두 아들을 낳았는데, 큰 아들(뇌질주일 또는 이진아시)은 대가야의 시조가 되고 둘째 아들(뇌질청예 또는 수로왕)은 금관가야의 시조가 되었다 한다. 가야산 해인사 국사단(局師壇)에는 정견모주가 산신으로 배향되어 있는데, 이서국이 멸망하자 정견모주(正見母主)가 가야산으로 이거하여 이비가지와 혼인하여 두 아들을 낳았다고 본다. 철기문명이 이서국에서 가야로 흘러갔다고 보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가야의 중심이었던 가락국은 철기를 생산하고 수출한 무역중계항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청도에 있었던 이서국이 철을 생산하였으니, 지금도 철전리(鐵田里)란 지명이 남아있고 철 생산시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한편 비파형동검이 출토되고 고인돌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서국은 고조선을 계승한 문화국가였음을 알 수 있다.

가야는 6가야를 비롯하여 많은 소국이 명멸하였는데, 보통 전후기로 나눈다. 금관가야[본명은 가락국]를 중심으로 하는 전기 가야연맹은 42년부터 400년까지 존속하였고 대가야[반파국]를 중심으로 하는 후기 가야연맹은 대략 5세기 후반에서 562년까지 100년 정도 흥성하였다. 일연은 오가야(五伽倻)란 제목으로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가락기찬(駕洛記贊)》에 이르기를, 한 가닥 자줏빛 노끈을 드리워, 여섯 개의 둥근 알을 내리니, 다섯 개는 각 읍으로 귀속하고, 한 개는 이 성(城)에 있으니 곧 그 하나는 수로왕이 되었다. 나머지 다섯 개는 다섯 가야의 왕이 되었으니, 아라(阿羅)가야[지금의 함안], 고녕(古寧)가야[지금의 함녕], 대가야[지금의 고령],성산(星山)가야[지금의 경산(京山) 일명 벽진], 소(小)가야[지금의 고성]의 다섯이다. 본조(곧 고려왕조)의 『사략(本朝史略)』에는 아라 또는 아야(阿耶)가야, 고녕가야, 대가야, 성산가야, 소(小)가야다.

일연의 기록은 금관가야와 오가야이며, 일연이 인용하는 본조사략의 기록은 대가야와 오가야인데, 각기 전기와 후기의 가야연맹을 대표한다.


 

윤용섭 삼국유사사업본부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