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중국 대형 여행사들이 한국 관련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인천관광공사에 따르면 화장품 제조·판매사인 중국 코우천그룹은 당초 4월 17~21일 인천에서 진행하려던 기업회의 및 포상관광 차원에서의 방한계획을 취소했다. 코우천그룹은 당초 임직원 4천명을 이끌고 방한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가 여행사를 통한 한국 관광을 전면 중단하라는 구두 지시가 내려진 지 이틀 만이다.

이 같은 경제 재제는 성주에 배치될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와 관련해 중국의 보복 행태로 보인다. 이 조치가 전면 시행되면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60~70% 줄어 국내 면세점, 항공업, 숙박업, 요식업 등에 직격탄을 안길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관광 금지령이 지속할 경우 중국인 관광객의 국내 지출을 한해 11조 원가량 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우리 여행수지 적자(6조9천410억 원)의 1.6배에 달하는 것이다. 중국인들의 반한 정서가 확산되면 자동차, 전자제품 같은 주요 수출품목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 정부의 이 같은 보복 조치는 정부의 내수활성화 대책으로 꼽힌 관광진흥에 찬물을 끼얹었다. 2015년 기준 한국의 수출액 비중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5.1%, 방한 관광객 중 중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외국인 면세점 매출 중 중국인 매출로 추정되는 비중은 71.8%이다. 중국 펀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11%에 이른다.

중국의 보복 조치가 갈수록 확산될 조짐을 보여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범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는 속담처럼 중국의 사드 보복에 범정부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2012년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분쟁으로 중국으로부터 전방위 보복을 당한 일본의 사례가 새삼 주목된다. 당시 일본도 초반엔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가 대중국 수출의존도를 낮추고 중국 내 공장을 동남아 등으로 분산시키는 전략을 구사해 성공적으로 난국을 타개했다. 한국의 GDP 대비 무역비율은 2015년 기준으로 85%다. 36%를 차지하는 일본보다 높아 대외 충격이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주권 국가인 한국은 중국의 사드 보복을 당당히 극복해 내야 한다. 중국의 반(反)국제주의 흐름에 위축되지 않는 거국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작금의 경제보복은 어쩌면 19세기 말 청일전쟁 때 중국의 대한반도에 대한 고압적인 태도의 재현된듯한 느낌이다. 제2의 나당(신라 대 당 나라) 전쟁을 하는 마음가짐으로 결연히 대응해야 한다. 올 것이 온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