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여 삼족봉황청동향로

가야국에 대하여는 가락국기에서 다시 논하기로 하고 북부여(北扶餘)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삼국유사의 기록이다.

<고기(古記)>에 이렇게 말했다. “전한(前漢) 선제(宣帝) 신작(神爵) 3년 임술(壬戌 BC58) 4월 8일에 천제(天帝)가 흘승골성(訖升骨城)에 내려왔다.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도읍을 세워 왕을 일컫고 국호를 북부여라 하였다. 스스로 이름을 해모수(解慕漱)라고 하였는데, 아들을 낳아 이름을 부루(扶婁)라 하고 해(解)로써 씨(氏)를 삼았다. 왕은 뒤에 상제(上帝)의 명령으로 도읍을 동부여(東扶餘)로 옮겼다. 동명제(東明帝)는 북부여(北扶餘)를 계승하여 일어나서 졸본(卒本州)에 도읍을 정하고 졸본부여(卒本扶餘)가 되었다. 이가 곧 고구려(高句麗)의 시조(始祖)이다.”

북부여에서 동부여가 갈라지고 북부여의 후예로 고구려가 건국되는 사실이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북부여의 왕인 해부루의 대신 아란불의 꿈에, 천제(天帝)가 내려와서 말했다. 장차 내 자손을 시켜서 이곳에 나라를 세울 터이니 너는 다른 곳으로 피해 가도록 하라(이것은 동명왕이 장차 일어날 조짐을 말함이다). 동해 가에 가섭원(迦葉原)이라는 곳이 있는데 땅이 기름져 왕도(王都)를 세울 만할 것이다.이에 아란불은 왕에게 권하여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동부여라 했다. 해부루는 자식이 없어서 산천에 제사를 지내어 후사(後嗣)를 구했는데, 이때 타고 가던 말이 곤연(鯤淵)이란 못에 이르러 큰 돌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 임금이 이상히 여기고 그 돌을 들추어 보니 거기에 어린애가 하나 있는데 모양이 금빛 개구리와 같았다. 그 아이를 거두어 기르면서 이름을 금와(金蛙)라고 했다. 성장하자 태자로 삼았고 금와는 해부루를 이어 이어 임금이 되었다. 금와왕을 이어 태자 대소(帶素)에게 왕위가 전해졌다.”

이처럼 북부여와 동부여는 한 묶음으로 소개된다. 그런데 일연선사가 상당한 역사의식을 가지고 삼국유사를 썼다는 것은 책을 쓰는 순서에도 나타난다. 즉, 고조선의 건국과 단군의 고사를 남긴 후, 위만조선과 한사군을 기록하였는데, 그 와중에 고죽국을 언급하였다. 고조선이 멸망하여 우리민족의 정통국가가 사라진 상황에서는 구이(九夷)와 동이(東夷)를 거론하여 민족의 개념과 연원을 모색하고 고조선에서 분립된 78국을 소개하였다. 이어 삼한, 특히 마한과 말갈, 그리고 발해를 서술하고 북부여와 동부여, 졸본부여까지 적은 뒤, 고구려와 백제, 신라와 가야의 역사를 써 나간다. 신라를 중심으로 삼국의 역사를 적으면서 우리 역사의 뿌리인 고조선이 있었던 지역에 건국되었던 고구려로부터 시작하는데, 고구려가 부여에서 나온 나라라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이는 삼국유사가 고구려의 역사를 빼앗는 중국의 역사침략을 와해시키는 유력한 사료가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국이 동북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을 통하여 줄기차게 고구려가 중국의 일부였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삼국유사 북부여조의 핵심은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는 인물이 북만주에 나타나 북부여란 나라를 세웠고 다음 대인 해부루는 동부여를 세웠다. 그리고 해모수의 자손 가운데 한 분인 동명제가 남쪽으로 내려와 졸본부여를 세웠는데, 이분이 곧 고주몽이고 이 나라가 고구려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조선을 계승하고 고구려의 단초를 연 북부여의 존재가 우리역사에서 중요한데, 다음 회에서 자세히 검토하기로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