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이 안동·예천 신도시로 이전한 지 1년이 지났다. 도청 이전지인 신도시(안동시 풍천면, 예천군 호명면)에는 각종 기반 시설과 아파트, 상가건물들이 빌딩 숲을 이루며 도시형태를 갖춰 가고 있다. 신도시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신도시 형성으로 인근 시군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신도시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인구 블랙홀 현상 때문이다.

지난해 예천군의 인구는 신도시(호명면) 내의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전체 인구는 늘었지만 사실상 원도심(예천읍)의 인구는 줄었다. 인접 지역인 안동·예천·영주에서도 신도시로 이주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예천읍의 인구는 2015년 12월 말 기준 7천499세대에 1만7천 337명, 2016년 7천379세대에 인구는 1만6천869명으로 468명이 줄었다.

지난해 말 기준 신도시의 아파트 입주세대는 1천287세대에 예천군에서 이사 한 인구는 117세대이고 안동시 346세대, 대구 415명 세대, 구미 28세대, 영주 83세대, 문경 16세대, 기타 266세대 등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3천726세대의 아파트가 완공되면 안동에서 1천724세대, 예천군에서 440세대가 이주한다.

또 대구에서 712세대, 영주 179세대, 구미 40세대, 문경 75세대, 상주 33세대, 봉화 38세대, 기타 484세대가 이주한다.

신도시로 이주하려는 인근 시군 주민들이 살던 아파트 원룸 등의 매도 물량이 늘면서 장기적인 경기불황과 겹쳐 부동산 시장이 위축돼 시세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 신도시로 젊은 층의 이주가 많다 보니 원도심의 고령화는 더 빨라지고 결국 활력이 떨어진 원도심 공동화의 악순환이 우려되고 있다.

원도심의 경우 인구감소로 상권을 지키지 못하는 불안감에 인근 안동이나 예천 상인들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예천읍에서 장사하는 장모 (50) 씨는 “신도시로 이사했거나 가려고 하는 공무원들과 이웃들이 상당수”라며 “이대로 가면 원도심의 상권은 사라지고 모든 것이 신도시가 중심이 되고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세종시와 내포신도시 등의 사례를 분석하고 인근 시군의 인구 유출과 상권을 지키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만 기자
이상만 기자 smlee@kyongbuk.com

경북도청, 경북경찰청, 안동, 예천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