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으로 관광업 수출업계 등 관련 업계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올해 1월 대구지역 수출은 섬유(8% 감소), 자동차 부품(2.4% 감소) 등의 수출 부진으로 5% 줄어들었다. 또 1위 수출국인 대중국 수출도 자동차부품도 15.5%, 전자 전기제품 20.9%, 섬유류 20.5% 감소했다.

당국은 중국의 통상압력에 따른 피해 상황과 수출지원 방안을 자세히 점검하고, 개선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대구시도 수출시장 다변화, 내수기업의 수출 기업화를 위해 실질적인 지원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라고 하니 다행이다. 시는 14일 수출 유관 기관 비상대책회의를 개최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대구국제공항도 타격을 받고 있다. 지난해 1~3월 중국 장가계, 란저우, 링보, 베이징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대구국제공항으로 데려오는 부정기노선이 34편이었지만, 올해는 ‘제로(0)’다. 지난해 상반기는 중국발 대구행 부정기노선 400편이 6만2천여 명이 오갔다. 올해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가 이어진다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항공사들의 중국 노선 부정기편 취항이 잇달아 좌절되면서 대구국제공항도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여행업, 숙박업, 음식업, 놀이공원 업계 모두 악영향을 받고 있다.

중국은 자국 여행사의 한국관광 상품 판매금지 지시에 이어 우리 항공사의 전세기 운항도 봉쇄했다. 항공업계는 전세기편 외에 성수기 정규 노선 증설이나 신규 취항도 허가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노심초사하고 있다.

중국이 취한 일련의 보복조치는 한·중관계의 의존적인 경제구조에 악영향을 거쳐 결국은 양국 모두에 손실을 가져올 것이다. 중국은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국제무역질서에 편입되면서 경제 대국을 이뤘다. 시장을 통제하고 사드 보복처럼 보이지 않는 규제의 칼을 휘두르는 중국은 국제사회로부터 자유무역경제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것은 불문가지다. 중국 경제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장기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우리 정부도 이에 대응해 중국의 WTO 제소를 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설령 제소해도 실효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지만, 대응방안 강구는 더 일찍 했어야 했다. 정부와 대구시 당국은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외교적, 행정적 대응 카드를 치밀하게 재점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