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대구와 경북의 실업률이 5%대로 진입했다고 한다. 고용 지수는 민생 경기를 좌우하는 직접적인 수치라는 점에서 지역사회에 사는 시·도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15일 동북지방통계청의 ‘2017년 2월 대구·경북지역 고용동향’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의 실업률이 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2년 만에 실업률이 또다시 5%대에 진입해 경기 침체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오래전부터 대비하지 않아서 일어난 고용 절벽이다.

지난 2월 실업률이 상승한 원인은 대학 졸업시즌으로 취업하지 못한 구직자들이 늘어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됐다. 수도권 기업들이 지방대학 출신 채용에 적극적이지 않아서라는 분석이다. 임금근로자 중 관광서비스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경북을 중심으로 일용근로자는 전년과 비교해 8천 명(9.3%)과 3천 명(4.4%) 줄어든 7만7천 명과 6만 명으로 집계됐다.

가계 어려움이 커지면서 가족들이 취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다. 여성과 청소년도 취업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현실이다. 여성은 대구와 경북이 전년보다 2만9천 명(5.8%)과 1만9천 명(3.4%) 증가했다고 한다. 전업주부들이 경제활동을 나서는 것은 성장을 위해서도 바람직스럽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남편 실직 등으로 가계 소득이 줄자, 상근자가 아닌 임시직이나 단기간 근로자로 취업하면서 고용의 질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 문제다.

우리 사회의 고용 악화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고용 악화는 성장이 지체되면서 일어나는 고질적인 난제다. 성장에 따른 고용창출력도 떨어지고 있다. 저성장 구조에서 취업자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지역 사회는 자영업 경기 악화와 산업 경쟁력 약화까지 겹치면서 고용악화가 더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구조의 틀 자체가 바뀌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한다. 인공지능, 로봇 등이 인간한테서 양질의 일자리까지 빼앗아 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빈익빈 부익부의 소득 양극화와 함께 고용악화는 서민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주범이다. 포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와 정부는 고용 창출이 지속 가능한 성장 정책임을 직시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