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사막화가 진행되자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은 인공어초를 투하해 바다숲 조성에 나서고 있다. 경북일보 DB
동해안을 중심으로 갯녹음 현상이 퍼지면서 바다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해양 생태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빠르게 진행되는 바다 사막화를 막기 위해 바다 숲 조성 등 각종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보다 앞서 앞으로 변화할 동해 바닷속 모습을 알기 위한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우리나라 연안에 갯녹음 발생 면적은 2만317㏊로 여의도 면적의 약 70배에 달한다.

특히 포항 인근 바다의 경우 77%가 바다 사막화가 진행 중이거나 심각한 상황이고 경주 인근 바다의 61%, 영덕 인근 바다의 58%, 울진 인근 바다의 56% 등 동해 전체의 62%에서 바다 사막화가 진행 중이거나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히려 1992년 갯녹음이 처음 시작된 제주해역보다 급속도로 사막화되고 있다.

갯녹음은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가 사라지고 산호말과 같은 조류가 퍼지고 이들이 죽고 남긴 석회 성분인 탄산칼슘 때문에 하얗게 보이는 현상이다.

전복, 소라 등 패류의 먹이이자 어류의 산란·서식 장소인 바다의 채소 해조류가 없어지면 더이상 어·폐류가 살 수 없는 바다가 되고 이는 수산자원 고갈로 이어진다.

동해안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가 사라지고 산호말과 같은 조류가 퍼지고 이들이 죽고 남긴 석회 성분인 탄산칼슘 때문에 하얗게 보이 갯녹음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경북일보 DB
이에 따라 해수부는 2030년까지 바다숲 5만4천㏊ 조성 목표 하에 연간 3천㏊ 규모의 바다 숲을 가꾸기 시작했으며 동해안 경북지역도 포항 11곳, 울진 5곳, 영덕 4곳, 경주·울릉 2곳 등 총 24곳의 바다 숲을 조성 중이다.

하지만 이들 바다 숲 조성은 바다 전역으로 퍼진 갯녹음 현상을 회복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급속하게 퍼져나가는 바다 사막화 현상을 일부 둔화시키는 데 그치고 있다.

사막화를 막기 위해 숲을 심는 대응은 필요하지만 바다 숲 조성이 바다를 지키는 유일한 정책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화 현상과 원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변화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이를 통해 바다 사막화가 처음 시작된 제주도보다 더 급격히 진행되는 이유를 규명하고 맞춤형 사업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바다가 이미 사막화 된 미국 캘리포니아 등 다른 지역 연구를 통해 바다 사막화가 진행된 곳의 생태계는 어떻게 이뤄지는 지, 어떤 어패류가 핵심종이 돼 수산자원회복이 진행되는지, 사막화된 바다를 어떻게 이용할지 등에 대한 고민을 할 때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해양 생태특성이 복합적이어서 조사가 쉽지 않지만 기본적인 모니터링부터 강화해 갯녹음 현상의 원인 파악, 대안 모색 등을 통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