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탄핵과 대선 정국 속에 지난해부터 시작된 생활물가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지난 2월 생산자물가지수가 7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3% 상승한 102.62를 기록해 2014년 12월 103.11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달 석유류는 13.3% 올라 전체 물가를 0.54%포인트 끌어올렸다. 석유류 물가는 2011년 11월(16.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교통(6.0%) 물가도 2011년 12월(6.3%)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어올랐다.

서민들의 영양식인 달걀과 닭고기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20일 기준 달걀 한판(30개 특란 기준) 평균 소매가는 7천299원으로, 평년(5천440원)과 비교하면 30% 이상 비싼 수준이다. 닭고기 가격은 지난달 하순 1천800원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8일 2천200원까지 치솟았다.

서민 밥상에 필수인 채소 무도 불안정하다. 양배추는 1포기에 5천101원으로 평년(2천891원)보다 76.4% 폭등했다. 무 가격이 평년)보다 68.5% 높고, 당근도 평년과 비교하면 74.4% 비싸다. 공급량이 줄어든 감귤은 최근 가격이 94.2%나 급등하는 등 과일값도 오르고 있다.

장바구니 물가 인상으로 특히 서민들의 생계가 불안하다. 문제는 물가 오름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 같지 않다는 데 있다. 국제원자재 가격이 상승세를 타고 있는 데다 기상이변으로 옥수수·소맥·대두 같은 곡물 값도 들썩이고 있다. 시중금리의 상승곡선도 심상치 않은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물가가 오른 만큼 소득이 뒷받침한다면 상관없겠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물가는 오르는데 소득은 줄고 있으니 내수가 꽉 닫혔다. 자칫 물가상승-소비위축-경기침체 심화의 악순환 고리가 걱정된다. 정부가 더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물가관리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물가에 대한 정부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한 시기다. 대선에 몰입하느라 국회와 정당은 물가관리에 안중에 없다. 수출 감소 등 경제난으로 국민이 느끼는 불안감은 날로 더해가고 있지만, 정가에서는 서민생계보다는 5월 대선에 더 치중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정치를 잘해야 민생이 편하다. 작금의 상황은 정치 실종으로 정치에 대한 불만과 효능감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