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무환 대구취재본부장

금복주가 혼쭐이 나고 있다.

잇달아 스캔들이 불거지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지난해 8월 금복주가 결혼을 앞둔 여성 직원을 강제로 퇴사시켰다는 기사가 보도됐다. 여직원이 결혼 계획을 알리자 회사가 퇴사를 강요했다는 것이다. 그럴 리가 있겠느냐고 스스로 반문하면서 설마 했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결과, 근무하다 결혼하는 여성 직원은 예외 없이 퇴사시켜 온 사실이 드러났다. 여성을 부수적 업무 혹은 낮은 직급에만 배치하고 대다수 여성 직원을 간접고용 위주로만 채용하는 관행도 적발됐다. 믿고 싶지 않았지만 사실이었다.

그로부터 6개월 만에 또다시 악재가 터졌다.

올해 2월엔 명절 떡값 수수 의혹이 제기됐다. 엎친 데 덮친 격이었다. 간부 등 2명이 업체로부터 위탁 계약을 해지할 것처럼 엄포를 놓아 명절 떡값 명목 등으로 거액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지금이 도대체 어느 세상인데 그럴 수 있나. 이들은 단호하게 법의 심판을 받아 마땅하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자 시민단체들이 회초리를 들고 나섰다. 금복주를 사 먹지 않겠다며 불매 운동에 들어간 것이다. 세계 여성의 날에는 ‘성 평등 걸림돌 상’ 수상자로 금복주를 선정하기도 했다.

이렇듯 60년의 역사를 가진 금복주가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일부 애주가들은 참소주 마시기를 의식적으로 거부하기도 한다. 여기에다 식당주인들은 식탁에 참소주 올려놓기가 때로는 망설여지기까지 한다는 반응이다. 2, 3년 전만 해도 80%대를 웃돌던 대구·경북의 참소주 점유율이 최근 들어 일련의 사태로 크게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여기에다 지역 쿼터제(할당제)가 없어지면서 자본력을 앞세운 외지 소주 업체들이 지역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그동안 시민단체들이 했던 각종 집회와 항의에 이은 1차 불매운동은 금복주에 확실한 경고음을 울렸을 것이다. 금복주 회장까지 피소된 상태다. 그런데 시민단체들이 지난주부터 금복주 2차 불매운동에 나섰다고 한다. 그러나 이제 그쯤하고 금복주를 지켜보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향후 유사한 행태들이 재발하는지를 예의주시해 보자. 잘못된 것을 고치도록 다시 한번 기회를 줘도 되지 않을까 한다.

기업이 지역사회에서 건전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지역민들의 책무이다. 기업 스스로는 잘못된 시스템과 관행을 고치는데 뼈를 깎는 노력을 해야 한다. 적폐의 대상은 그 무엇이든 가차 없이 도려내되, 그래도 기업은 살려야 한다.
금복주 직원은 경주법주를 포함해 350명~4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 업체 수도 120개 내외로 전해졌다. 기업이 잘못되면 그 사회에 미치는 여파가 적지 않다. 결국, 지역 사회의 또 다른 부담으로 다가온다. 기업을 살려야 하는 이유다.

무엇보다도 금복주 임직원들이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위기는 기회다. 그러나 그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준비를 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실천할 때 가능하다. 이번 기회에 전근대적이고 구태의연한 조직문화를 환골탈태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지역민들 가운데 상당수가  "그래도 우리지역 기업인데…"라고 애정론을 거두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