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도발로 희생된 서해 전사 군인의 추모 문제와 수백 명의 소중한 생명을 잃은 세월호 사후처리를 두고 아직도 우리 사회는 객관적인 대응보다 지루한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국론 통합이 시급하다.

지난 24일 정부가 지정한 ‘서해 수호의 날’은 야당 대선후보조차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모양새다.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등 북한의 ‘3대 서해 도발’로 희생된 이들을 기리고 북한의 무력 도발 위험을 상기하자는 취지로 지난해 지정된 ‘서해 수호의 날’은 국방이라는 측면에서 적잖은 의미를 지녔다. 국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희생정신을 되새기자는 긍정적인 취지는 온데간데없다.

그러나 북한의 도발에 희생된 이들은 점점 국민의 뇌리에서 잊히고 있다. 천안함 전사자 유족은 “국민의 기억 속에선 점점 멀어지는 것 같다“고 해이해진 국방의식을 걱정했다. 2002년 6월 29일 북한 경비정의 기습공격으로 발발한 제2연평해전에서는 장병 6명이 전사하고 19명이 부상했다. 또 우리 해군의 참수리 357호정이 침몰했다. 2010년 3월 26일에는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경계작전을 하던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두 동강 나고 승조원 46명이 전사했다. 구조작전 과정에서는 한준호 준위가 희생됐다. 같은 해 11월 23일에는 북한군의 포격으로 평화롭던 연평도 섬마을이 한순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해병대원 2명이 전사하고 무고한 민간인 2명도 희생됐다. 20여 명의 부상자도 나왔다.

1천73일 만에 세월호 선체를 인양하는 문제도 그렇다. 세월호 사고의 295번째 시신이 수습된 것은 6개월여 후인 10월 하순이었다. 그다음 달 11일 수색 종료가 선언될 때 9명이 ‘미수습자’로 남았다. 유족들을 생각해 ‘실종’ 대신 ‘미수습’ 상태로 분류한 남성 6명, 여성 3명이다. 누구보다 큰 고통을 받은 사람들이 이들 ‘미수습자’ 유족일 것이다. 유족들의 가슴에 맺힌 한을 조금이나마 풀어줄 수 있도록 당파를 초월해 지원해야 한다.

우리나라 대외적 안보 현실은 엄중하다. 중국, 일본, 북한의 도발을 걱정해야 할 상황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이보다 더 무서운 것은 우리 사회의 안보에 대한 이념노선 간, 당파 간, 세대 간 분열 양상이다. 이젠 이들 사건으로 인해 입은 상처가 치유되고 이와 관련된 갈등이 봉합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