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와 산하 시 군이 귀농 귀촌 인구 늘리기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귀농 1번지’를 표방하며 귀농정책을 장려하고 있는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증가와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늘어나면서 가능성 있는 정책으로 주목된다.

안동시는 서울시민의 귀농 유도를 위해 서울 성동구 안동빌딩에 ‘안동 귀농·귀촌 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귀농·귀촌 준비부터 원예·특용작물, 휴양농업·농촌관광·도시농업 과정 등을 가르친다. 시는 ‘귀농의 집’ 5채를 마련해 귀농인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도 세웠다. 영주시는 ‘소백산 귀농드림타운’를 지난해 6월 전국에서 처음 문을 열어 ‘체류형 창업지원센터’ 구실을 하고 있다. 귀농드림타운은 귀농을 원하는 사람이 시설에 10개월 동안 머물며 귀농 준비를 하는 곳이다.

영양군은 군청 종합민원실에 ‘귀농 원스톱 상담창구’를, 의성군은 농지구입비, 축사신축비 등 영농기반 조성 자금 저리 지원, 예천군은 귀농인들에게 귀농·귀촌 준비단계에서부터 정착단계까지 원스톱 행정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2015년 경북 귀농 인구는 총 3천683명이고 귀촌 인구는 4만7894명이다. 매년 증가세다. 2015년 귀농한 인구는 상주가 269명, 영천 262명, 의성 252명, 안동 229명, 예천 227명, 청도 218명, 봉화 201명 등이다. 귀촌은 포항이 6천654명, 칠곡 6천591명, 경산 5천454명, 경주가 4천509명, 영주 1천15명 등의 순이다.

농촌 지역 지자체들의 인구 늘리기는 그야말로 ‘전쟁’이다. 경북도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귀농정책을 펴고 있다. 경남 창녕군은 차별화된 출산장려정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인구증가를 원인 측면에서 볼 때 출생 등 자연적 증가보다는 향촌이도(向村離都) 등 사회적 증가 영향이 크다. 고령 인구 비율은 21.4%로 늘어난 반면 유소년인구 비율은 14.6%로 낮아졌다

따라서 농촌인구 증가를 지속해서 견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정주 여건이 양호하고 경제적 기회가 증가하는 시·군을 중심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농촌 지역의 소득·의료·교육·문화 등에 대한 투자가 확대돼야 한다. 지역별 인구·사회변화에 대응해 차별화한 정책이 필요하다. 농촌 지역 인구 유입과 연계해 농촌경제를 다각화하고 활성화하는 의제가 나와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