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회의 대표가 12일 오후 늦게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일주일 전 대선 출마를 선언했던 김 전 대표는 이날 오후 보도자료를 내고 “통합정부를 구성해 목전에 다가온 국가 위기를 극복해보겠다는 대선 후보로서의 제 노력은 오늘로 멈추겠다”며 “통합정부의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후보가 새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대선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김 전 대표는 “지금 우리 여건에서 좋은 나라를 만드는 일은 대통령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며 “통합정부로 위기를 돌파하고 나라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겨냥, “위기 상황을 수습할 대통령을 뽑는 것인데, 지난 세월이 모두 적폐라면서 과거를 파헤치자는 후보가 스스로 대세라고 주장한다”고 직격탄을 날린 지 일주일만이다.

홍석현 전 JTBC 회장, 정운찬 전 총리 등이 거론됐던 제3지대론이 흐지부지되고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지지율 급상승을 이루면서 문재인 후보와 양강구도를 형성해 나간 것이 부담된 것으로 보인다. 애초 ‘킹메이커’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졌던 김 전 대표가 직접 대선에 나서기로 한 배경은 반문(반문재인) 결집을 위한 승부수라는 측면이 많았다. 그러나 반문연대의 중심축이라 할 안 후보가 부정적인 게 결정적이다.

그러나 그가 내세운 통합정부의 취지는 빠트릴 수 없는 가치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 곧바로 안보·경제의 위기관리에 들어가야 하나 특정 정치세력에만 기댄 대통령으로는 역부족일 것이다. 더욱이 여소야대 국회에서는 국회의 전면적 도움을 받지 못하면 불능정부가 되기에 십상이다. 밀어붙이기식의 독단적 국정운영이 안 되는 이유다.

문재인-안철수 후보 등 다른 대선후보들도 급박한 국내·외 상황에 비춰 대선 이후 신속한 총력 대응체제 구축을 위한 통합정부 구상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 이번 대선은 누가 당선되더라도 국회의석 과반수 미달로 원활한 국정운영이 어렵다. 제2의 ‘3당 합당’이나 연립정권, 협치, 통합정부 등 큰 틀의 정치적 해법은 물론 이를 추진할 구체적 방식도 제시하고 국민 선택을 받는 것이 옳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가 김 전 대표의 영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경험이 풍부한 정계 원로의 능력을 당으로 흡수한다는 통합정신은 환영할만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