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단양에서 붙잡힌 농협 권총 강도 용의자 김모(43)씨가 22일 오후 경북 경산시 계양동 경산경찰서로 들어가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
경산 은행강도가 발생 55시간 만에 붙잡혔지만 범행 당시 실제로 총까지 쏘며 직원들을 위협해 총기에 대한 불안감을 높였다.

이 사건을 비롯해 총기 사건·사고가 잊을 만하면 되풀이되고 있어 우리나라가 더 이상 총기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경산경찰서는 22일 오후 6시 47분께 충북 단양군 단양읍에서 경산 자인농협 하남지점 권총강도 용의자 김모(43·경산시)씨를 특수강도 혐의로 긴급 체포하고 총기와 실탄 입수 경위에 대해 집중 조사하고 있다.

특히 경산에서 농사를 짓는 것으로 알려진 김씨가 권총과 탄환을 어떻게 손에 넣었는지에 대해 이런저런 추측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총기 사건이 반복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것.

지난해 12월 서울 중랑구 묵동 주택가에서는 산악회에서 탈퇴하게 된데 앙심을 품은 40대 여성이 지구대에 맡겼던 엽총을 찾아 난사했고 같은 해 11월에는 음주운전 적발에 불만을 품고 강원도 고성군 죽왕파출소를 찾아 경찰관을 향해 엽총 2발을 쏘기도 했다.

수렵 면허만 따면 총포의 구입과 사용이 가능하지만 총기가 어떻게 사용되는 지 등의 사후 관리는 제대로 되지 않아 경찰의 허술한 총기류 관리 단속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10월에도 서울 강북구 오패산터널 인근에서 인터넷을 보고 만든 사제 총을 10여 차례 난사해 경찰관이 숨지는 사고도 있었다.

온라인에 떠도는 총기와 폭탄 제조법으로 일반인들이 쉽게 총기에 접근할 수 있게 환경이 변화했다.

정부는 올해 1월 총포·화약류의 제조 방법이나 설계도 등을 온라인에 올리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물릴 수 있는 처벌 규정을 신설했다.

하지만 서버가 외국에 있는 경우가 많아 여전히 온라인에서 총기 제작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또 여행자가 총기를 화물에 숨겨 들여오는 기존 밀수입 방식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국제우편이나 국제특송으로 총기 개조가 가능한 장난감이나 일부 부품을 들여오는 경향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관세청에 따르면 총기 밀수 적발 규모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2013년 103건(140정)에 불과하던 총기류 밀수 적발 건수는 2015년 128건(180정)으로 늘어나는 등 통관의 틈을 이용해 밀반입이 이뤄지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총기 관리 강화, 불법 총기 반입 경로 근절과 함께 인터넷을 통한 사제 총기 제작법 전파를 막는 등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경찰관계자는 “범인은 추적해 잡을 수 있지만 이미 다친 피해자들을 되돌릴 수 없다”면서 “총기가 범행에 사용되는 길을 사전에 막아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