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이 동해라는 해역 명칭을 두고 치열한 다툼이 진행 중이라고 한다. 오는 24~28일 남부 유럽 모나코에서 열리는 국제수로기구(IHO) 제19차 총회에서 IHO의 국제표준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개정 문제와 맞물려 동해 표기를 놓고 치열한 외교전을 벌이고 있다. S-23은 해도를 발간할 때 국제사회의 기준선 역할을 한다.

그동안 한일간의 동해 표기를 둘러싼 싸움 등으로 개정판(4판)을 내지 못하고 한·일간 분쟁 거리로 대두됐다. 한국은 ‘일본해’를 주장하는 일본과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는 동해-일본해를 함께 적지만 궁극적으로는 ‘동해’로 단독 표기하자는 주장이고, 일본은 ‘일본해’ 단독표기 입장이다.

일본의 독도와 동해 명칭에 대한 집착은 끈질기다. 우익계가 지난해 11월 도쿄 헌정기념관에 모여 독도 문제 조기해결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1953년 일본은 한국의 혼란을 틈타 세 차례에 걸쳐 독도에 무단 상륙했다. 이들은 1948년 미군의 폭격 연습 과정에서 희생된 한국 어부의 위령비를 파괴하고 독도에 ‘시마네현 오키군 다케시마(島根縣隱岐郡竹島)’라는 나무 표지판을 세우는 등 불법 영토 침략을 공공연히 저질렀다.

일본의 터무니없는 독도 침탈에 이어 동해 명칭에 대한 고집 등 어떠한 도발 행위도 절대 용납하지 않고 단호히 맞서야 한다. 우리 국민의 독도와 동해 사랑이 독도 문제 해결에 힘이 될 것이다. 우리의 지속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동해(East Sea)’라는 우리나라 영해(領海)에 대한 수호 의지가 요구되고 있다. 동해는 우리의 애국가에 첫 마디에 등장하는 우릴 국토의 상징이다. ‘동해’와 ‘일본해’ 표기를 둘러싼 한·일간 외교전이 뜨거운 상황에서 우리 국민 중에서도 특히 동해가 가장 많이 연접한 경상북도 주민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동해안발전본부도 가동하고 있는 등 어느 시도 보다도 동해에 관한 관심이 높다. 환동해 시대의 요충지는 동해다. 동해 명칭 수호를 계기로 동해안권을 창조경제의 선도지역, 통일시대 북방진출의 중심거점으로 육성하는데 당국은 물론 지역 시민사회도 온 힘을 쏟아야 한다. 동해안 시대는 동해를 수호하는 데서 시작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해 표기 관철을 위해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