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뒤면 대한민국의 새 대통령이 취임한다. ‘5·9대선’이 종반에 접어들면서 이번 주에 차기 대통령에 대한 여론의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여 선거 판세를 좌우할 ‘대권 연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오전에 당선자가 발표되면 즉시 대통령 임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대통령 후보만 보일 뿐 대통령과 함께할 참모 등 통치세력이 잘 보이질 앉는다. 이번 선거가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초단기 선거여서 후보들의 참모들도 급조된 데 이러한 현상을 부추긴다.

이러한 것을 의식해 대선후보들이 연정과 협치를 내세우고 있다. 물론 대선을 열흘 남짓 남겨 놓고 다급히 유권자 표심을 붙잡으려는 행보로 볼 여지도 없지 않다. 협치는 시민사회 등과 할 정치참여범위를 넓히는 부분이다. 따라서 협치보다는 연립정부, 즉 연정이 핵심이다. 특히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든 여소야대의 국회 지형을 맞게 된다. 선거 직후 맞닥뜨릴 현실이다.

여론지지율 1, 2위를 달리는 후보가 더욱 적극적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당내 비주류인 박영선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후보 직속의 통합정부추진위를 꾸렸다. 1차 협치 대상은 국민의당, 정의당 등 기존의 야권 정당이라면서 비(非)영남권 출신 총리를 거론하기도 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도 호남 출신 법무부 장관 등 연정 방안을 제시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28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세력과 패권주의 세력을 제외하고 모든 정파가 참여하는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후보들이 저마다 연정과 타협의 정치를 내세우고 있으나 집권 이후 여소야대 정국으로 헤쳐나가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우세를 지켜내야 하는 후보와 반전이 필요한 후보가 통합정부안을 급조해 내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3당 합당이나 김대중 김종필 연대도 나중에 깨지면서 정국이 불안한 사례를 우릴 국민은 경험했다.

이왕 협치를 하겠다고 한 마당에 실천을 담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내각 인선안을 사전에 발표하고 국민의 심판을 받는 방안이 한 방안이다. 최소한 총리와 외교부, 국방부 장관 등 외치 부분에 대해선 대선 전에 인선안을 내놓아야 국민의 불안을 씻을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