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 (주)컬쳐팩토리 대표이사.jpg
▲ 이상원 (주)컬처팩토리 대표
청구서(請求書)의 사전적 의미로는 돈이나 세금, 요금 따위를 요구하는 내용의 문서라는 뜻이다. 누구나 별로 달갑지도 않고 받고 싶지 않은 문서이다. 카드청구서, 전화요금청구서, 외상값 청구서에다가 심한 경우에는 구속영장 청구서 등 다 피하고 싶은 것들이다. 청구서는 가끔 연극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경로당 폰팅 사건’이라는 연극이 있다. 언제나 시끌벅적한 장수아파트의 경로당에 어느 날 날아든 수백만 원 전화요금 청구서 때문에 소동이 일어나는 해프닝을 다룬 코믹 하면서도 감동을 주는 연극이다. 제목에서 암시하듯이 아파트 경로당 전화비를 부녀회에서 대신 지급하고 있는데 엄청난 전화요금청구서가 날아오자 흥분한 아파트 부녀회장은 수백만 이상 나온 전화요금 청구서를 들고 경로당에 와서 난리를 피운다. 잘해준 대가가 이것이냐고. 많은 요금이 청구된 이유는 어이없게도 누군가가 몰래 한 폰팅 때문임을 알게 된 경로당 사람들이 범인을 찾아내기 위한 한바탕 소동이 벌어지고 누가 폰팅을 했는지를 찾아내고자 서로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로 살피게 된다는 내용의 연극이다. 하지만 이 연극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의 외로움을 이해할 수 있고 바라볼 줄 아는 소통하는 시간이 누구에게나 필요하다는 의미의 연극이다. 이 연극에서 전화는 현대인의 단절을 이어주는 소통의 도구이다.

이처럼 소통은 개인 간에도 중요하지만, 국가 간의 관계에서도 소통은 중요하다. 지난 4월 27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이틀 앞두고 한 통신사와 인터뷰에서 “한국이 사드 비용을 내는 것이 적절하다고 한국 쪽에 통보했다”고 밝혔다는 내용의 청구서가 태평양 너머에서 한국으로 느닷없이 일방적으로 날아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드는 한국인을 보호한다. 우리는 한국인을 보호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은 그에 대한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며 어느 사람도 예상치 못한 10억 달러의 청구서를 미사일 발사하듯이 했다. 전임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해 한국의 지도자는 공석인 상태에서 무방비로 요금을 청구 당한 꼴이 되었다.

사드 요금 청구서파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로이터’ 통신 인터뷰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다. 그는 다음날에도 ‘워싱턴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사드 비용 청구 문제를 다시 반복했다. 급기야 보도에 따르면 한국 국가안보실장과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4월 30일 오전 전화 협의를 통해 사드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기존 합의를 재확인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아직도 사드 비용청구서 파문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사드 요금청구서 파문은 근원은 이전 정부부터 시작되었다. 지난해 7월 사드 배치 결정 발표 이전만 해도 미국 정부는 적극적으로 한국에 사드 배치를 밀어붙일 생각은 없었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한국 정부가 갑자기 지난해 7월에 갑자기 사드 배치 요청을 하면서 사드의 한국배치에는 가속도가 붙은 것이다. 이처럼 이전 정부의 어설픈 외교는 한국 정부뿐만이 아니고 국민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사드를 배치해도 중국의 보복은 없을 것이라는 전 정부의 호언은 이미 산산조각이 났다. 잘 알다시피 중국 정부는 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로 한국에 대한 전방위적인 경제제재와 ‘한한령’으로 대표되는 한류 문화 억제정책을 사드 배치가 발표된 지난 7월 이후부터 실제적인 압박을 지금까지도 여전히 가하고 있다.

2005년 ‘대장금’, 2014년 ‘별에서 온 그대’에 이어 2016년 ‘태양의 후예’ 등의 드라마와 K-POP, 영화, 공연 등 겨우 싹을 피우던 한국문화콘텐츠의 피해가 심하다. 제조업과 달리 문화산업 분야는 정확한 피해 치를 측정하기도 힘들다. 중국에 이어 미국까지 두 강대국에서 동시에 날아온 요금 청구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난마같이 얽힌 문제의 해결을 새로 출범한 정부에게 기대를 걸어본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