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2대 남해왕=차차웅…왕호의 방언

박혁거세를 이은 신라 제2대 임금은 남해왕(南解王)이다. 그는 체격이 뛰어났으며 현명하고 자비로운 임금이었다 한다. 탈해가 어진 것을 알아 사위로 삼았고 여러 번 외침을 막아내었다. 시조묘를 세워 신라의 국통을 바로 잡기도 했다. 남해왕에 관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일별해보기로 한다.

남해거서간(南解居西干)을 차차웅(次次雄)이라고도 한다. 이는 존장(尊長)에 대한 칭호인데 오직 남해왕만을 차차웅(次次雄)이라고 불렀다. 아버지는 혁거세요, 어머니는 알영부인이며, 비(妃)는 운제부인(雲帝 또는 雲梯夫人)이다.

지금 영일현(迎日縣) 서쪽에 운제산(雲梯山) 성모(聖母)가 있는데 가뭄 때 여기에 기도를 드리면 감응이 있다. 전한(前漢) 평제(平帝) 원시(元始) 4년 갑자(甲子)에 즉위하여 나라를 다스린 지 21년 만인 지황(地皇) 4년 갑신(甲申)에 죽었다. 

<삼국사(三國史)>를 상고해 보면, “신라에서는 왕을 거서간(居西干)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진한(辰韓)의 말로 왕이란 말이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이는 귀인(貴人)을 부르는 칭호라고 하며, 차차웅(次次雄) 혹은 자충(慈充)이라고도 한다.”고 했다.

김대문(金大問)은 말하기를, “차차웅이란 무당을 이르는 방언(方言)이다. 세상 사람들은 무당이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숭상하기 때문에 그들을 두려워하고 공경한다(世人以巫事鬼神尙祭祀故畏敬之)”고 했다. 이는 신라왕이 제정일치(祭政一致)의 제사장의 위치에 있었다는 의미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이사금(尼師金)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치리(齒理)라는 뜻이다”라고 했다.

※필자 주: 여기서 ‘치리(齒理)’는 ‘잇금’ 또는 ‘이치로써 다스린다’는 뜻인데, 잇금이 맞는 것 같다. ‘리(理)’는 구슬에 있는 금을 뜻에서 나왔다. 옥이 깨어질 때 금이 나는데, 이것이 ‘리(理)’다. 잇금이란 이에 난 금 또는 선(線)이란 말이니, 치아의 수가 되기 때문이다.

처음에 남해왕이 죽고 그 아들 노례(弩禮)가 왕위를 탈해(脫解)에게 양보하자, 탈해가 말하기를, “나는 들으니 성스럽고 지혜 있는 사람은 이가 많다고 한다.”하고 떡을 입으로 물어 시험해 보았다. 노례의 이가 많았으므로 그가 신라 제2대 임금이 되었다. 예부터 전하는 말이 이와 같다(古傳如此).

어떤 사람은 임금을 마립간(麻立干)이라고도 했다. 이것을 김대문(金大問)은 해석하기를, “마립간(麻立干)이란 서열을 뜻하는 방언(方言)인데, 막대(?)를 말한다. 막대를 직위에 맞추어 표시하여 세워둔다(?標准位而置). 임금의 막대는 주가 되고 신하의 막대는 아래에 두니 그래서 이름이 되었다.

※필자 주: 마립간이 말뚝에서 나왔다는 것은 그럴 수도 있지만 이상하다. ‘마리’는 머리, ‘간’은 유라시아대륙에서 왕을 뜻하는 ‘칸’이 아닐까?

사론(史論)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신라왕으로서 거서간과 차차웅이란 이름을 쓴 이가 각기 하나요, 이사금이라고 한 이가 열여섯이며, 마립간이라 한 이가 넷이다. 신라 말기의 명유(名儒) 최치원(崔致遠)이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을 지으면서 모두 모왕(某王)이라고만 하고 거서간(居西干) 등이라고 하지 않았다. 이것은 혹시 그 말이 야비하다고 생각해서인가. 그러나 지금 신라의 일을 기록하는 데 방언(方言)을 모두 그대로 두는 것도 또한 마땅한 일일 것이다.”

신라의 왕호가 거서간,차차웅,이사금, 마립간 등 특이하게 부르는 것을 방언이라 하는데, 아마 유라시아의 유목민족의 관습과 관계가 깊다는 증거가 최근 속속 발견되고 있다. 당장 거서간과 징기스칸의 발음이 비슷하지 않은가.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