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벽 기조층서 인골 2구 발견…'인주 설화' 첫 고증
해자에서는 소그드인 토우·이두 목간 등 다량 출토

▲ 지난 2015년 3월부터 경주 월성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16일 그간의 발굴 성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월성 북쪽 해자(성 둘레에 판 못)에서 출토 된 여러 가지 모양의 토우(土偶). 특히 사진 가운데 있는 머리에 터번을 두른 아랍인(소그드인) 모양의 토우가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사적 제16호인 경주 월성에 대한 발굴조사 중 국내에서 최초로 성벽의 기초층에서 제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 2구가 출토됐다.

2015년 3월부터 경주 월성 정밀발굴조사를 진행 중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16일 월성 발굴현장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그동안의 발굴 성과를 공개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월성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 중 △서쪽 성벽의 기초층에서 제물로 추정되는 인골 2구 △현재의 이란계 주민인 ‘소그드인’으로 추정되는 터번을 쓴 토우 △병오년(丙午年) 간지가 정확하게 적힌 목간 등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월성 발굴 조사에서 국내 최초로 성벽 기초층에서 제물로 받쳐진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이 2구가 발굴됐다. 사진은 발굴 조사에서 드러난 인골 모습.
경주 월성 조사구역은 총면적 22만 2천㎡규모로 A~D 등 4지구와 외부를 감싸는 해자 등으로 나뉘어 발굴조사 중이며, 현재는 중심부인 C지구와 서편 A지구(문지·성벽), 해자지구를 조사 중이다.

2015년 6월부터 시작한 A지구(월성 서편지구) 발굴조사를 통해서는 서쪽에 있는 성벽이 5세기에 처음으로 축조됐고 6세기에 최종적으로 보수됐던 사실을 확인했으며, 문이 있던 자리는 이미 유실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월성 서쪽에 있는 서성벽을 조사한 결과, 축조연대는 5세기 전후로 판단되며, 국내에서 최초로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제의의 흔적이 확인됐다.

인골은 성벽을 본격적으로 쌓기 직전인 기초층에서 2구가 출토됐으며, 한 구는 정면으로 똑바로 누워 있고, 다른 한 구는 반대편 인골을 바라보게끔 얼굴과 한쪽 팔이 약간 돌려져 있다.

월성발굴현장 모습.
이처럼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인골이 확인된 국내 사례는 월성이 최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제방이나 건물의 축조와 관련된 인주(人柱) 설화로만 전해져 오다가 이번에 그와 같은 사실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셈이다.

현재는 발굴된 이들 인골을 대상으로 인골의 성별·연령 등을 확인하기 위한 체질인류학적 분석과 DNA 분석, 콜라겐 분석을 통한 식생활 복원, 기생충 유무 확인을 위한 골반 주변 토양 분석 등을 하고 있다.

조사단은 또한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월성 북쪽 면에 길게 늘어서 판 못인 해자에 대한 정밀보완조사 결과 해자가 약 500년 동안 수혈해자에서 석축해자로의 변화를 거치며 지속해서 사용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해자에서 출토된 흙으로 형상을 빚은 토우들이 여럿 출토됐는데, 모양은 사람과 동물, 말 탄 사람 등 다양하지만, 이중 터번을 쓴 토우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월성 해자지구 출토 목간 모습.
이번 터번 토우는 눈이 깊고, 끝자락이 오른쪽 팔뚝까지 내려오는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있었다.

6세기 토우로써 추정되기 때문에 현재까지 출토된 소그드인 추정 토우 중 가장 이른 시기로 판단된다.

월성 해자에서는 목간도 총 7점이 나왔는데, 이 가운데 ‘병오년(丙午年)’이라고 적힌 목간은 월성해자 출토 목간 중 정확한 연대가 최초로 확인된 것이다.

병오년은 60년 만에 한 번씩 돌아오기 때문에 법흥왕13년(526년)이나 진평왕8년(586년)으로 볼 수 있다.

월성 해자지구에서 출토된 가시연 씨앗.
월성 A지구 서성벽 동-서토층
이외에도 동물 뼈, 식물유체, 목제유물 등 다양한 자료들이 해자에서 출토됐다.

동물 뼈 가운데는 돼지, 소, 말, 개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신라 시대 유적에서 최초로 곰의 뼈가 출토돼 유입과정과 사용례에 대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식물유체 중에서는 가시연꽃 씨앗이 많았으며, 목제유물은 빗, 국자, 목제그릇, 칠기 등의 생활도구와 건축재료 등 다양하게 나왔다.
경주 월성 배치도(아래가 남쪽)
황기환 기자
황기환 기자 hgeeh@kyongbuk.com

동남부권 본부장, 경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