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균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jpg
▲ 박동균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강원도 강릉시와 삼척시, 경북 상주시에서 지난 5월 6일부터 9일까지 72시간 동안 대형산불이 발생했다. 이 산불로 축구장 1천544개 크기의 아까운 임야를 잃었다. 1996년 고성산불, 2000년 동해안 산불, 2005년 양양 산불 등 봄이 되면 가뭄과 강풍으로 산불이 반복되었지만, 이번에도 발생했다.

우리나라는 산림구조나 지형, 기후의 특성상 산불 발생의 위험성이 높다. 우리나라의 산림은 매우 울창하고 불에 잘 타는 낙엽이 많다. 또한, 경사가 급하고 기복이 많은 산지로 인해서 연소진행 속도가 빠르다. 일단 산불이 발생하면 급속하게 퍼진다. 특히 봄철 건조기에는 계절풍이 겹쳐 동시다발적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산림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7년에서 2016년까지 연평균 394건의 산불이 발생했는데, 특히 3월과 4월에 발생한 산불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다. 건조하고 비가 잘 오지 않은 이유 때문이다. 이 시기에 공무원들이 주말에 당번을 정해서 산불감시 특별임무 수행을 하는 이유다.

또한, 최근 10년간 산불피해의 원인을 조사해 보니, 등산객 등 입산자 과실로 인한 산불이 전체의 38%, 논·밭두렁 소각 18%, 쓰레기 소각 13%, 담뱃불 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국, 산불은 인적 재난이라는 뜻이다. 최근에는 주5일 근무제가 확대되고,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문화 때문에 산을 찾는 인구가 늘어나 공휴일에 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할 우려가 큰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산불의 발생 양상이 대형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산불로 인한 피해 또한 천문학적으로 크다. 둘째로, 산불 발생이 도발적·가변적이어서 불확실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산불 발생에 대한 대응조치를 취하는 시간이 극히 적어서 위기관리에 대한 평상시의 세심한 대책의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한다는 점이다.

산불로 인한 피해는 단순히 산림 훼손에 머물지 않는다. 토양 훼손 등 생태계 파괴에 따른 후유증도 매우 심각하다. 장마철에 발생할 수 있는 산사태나 홍수의 위험성도 커진다. 또한, 소중한 국보급 문화유산의 소실,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주민들의 삶의 터전까지 빼앗아 간다. 잠깐의 방심으로 원래의 제 모습을 되찾으려면 50년 이상이 걸린다.

이러한 산불은 산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속성상 화재진압을 위한 접근이 더디고 어려우며, 불을 끄기 위한 수원 확보도 어렵다. 특히 야간 산불인 경우에는 산불진압이 더욱더 어렵다.

앞으로 산불 발생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건조기인 봄철을 산불 발생의 위험기로 보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입산 인구에 대한 적실성 있는 통제를 강화하고, SNS 등을 통한 대국민 산불예방 홍보활동도 필요하다.

또한, 불가피하게 발생한 산불에 대해서는 조기에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조기발견 시스템의 확립과 진화인력의 확보, 첨단장비의 확충, 효율적인 진화기술의 개발 등이 필수적이다.

끝으로, 산불 진화 첨단장비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 산불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이 산불진화 장비다. 우리나라 산불 진화의 80% 이상은 전국에 있는 45대의 산림청 헬기가 담당한다. 이 중 12대는 소형이라서 1천ℓ 물만 실어 나를 수 있어 산불을 끄는 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산불 진화에 투입되는 모든 헬기는 야간에는 진화할 수 없다. 관련 첨단장비와 예산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산불은 인력과 노하우로만 막을 수 없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