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가락국 거쳐 신라로 온 탈해임금

신라의 개국조 박혁거세와 이를 잘 계승한 남해거서간과 노례이사금을 지나 제4대 석탈해이사금의 이야기다. 가락국(駕洛國) 바다 가운데에 배가 와서 닿았다. 수로왕(首露王)이 신민(臣民)들과 함께 북을 치고 맞이하였으나, 배가 달아나 계림(鷄林) 동쪽 하서지촌(下西知村) 아진포(阿珍浦)에 이르렀다. 갯가에 아진의선(阿珍義先)이라는 노파가 있었는데, 해척(海尺)의 어미였다. 노파가 바라보고 말하기를, 이 바다 가운데 본래 바위가 없었는데 까치가 모여들어 우는 것은 무슨 일인가 하고 배를 끌고 가서 찾아보니 까치가 배위에 모여들고 그 배 가운데 궤(櫃) 하나가 있었는데 길이가 20척(尺), 폭이 13척(尺)이나 되었다. 그 배를 끌어다 수림(樹林)밑에 두고 길흉을 알지 못하여 하늘을 향해 맹세를 하고나서 궤를 열어보니, 단정한 사내아이와 아울러 칠보(七寶)와 노비가 그 가운데 가득 차 있었다. 7일 동안 공급하였더니, 아이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였다. “나는 본래 용성국(龍城國) 사람 [또는 정명국(正明國) 혹은 완하국(琓夏國), 화하국(花厦國)이라고도 하는데, 용성은 왜(倭)의 동북 일천리에 있다]으로, 우리나라에 일찍이 28용왕이 있었는데, 모두 사람의 태(胎)를 좇아 나왔고, 5,6세 때부터 왕위를 이어 만민을 가르쳐 성명(性命)을 올바르게 하였다. 8품의 성골(姓骨)이 있으나 선택하는 일이 없이 모두 대위에 올랐다. 부왕 함달파(含達婆)가 적녀국(積女國)의 왕녀를 맞아서 비(妃)를 삼았더니 오래도록 아들이 없으므로 기도하여 아들을 구할 때, 7년 뒤에 큰 알 하나를 낳았다. 이에 대왕이 군신에게 묻되 사람으로서 알을 낳음은 고금에 없는 일이니 이것이 불길할 징조이라 하고 궤를 만들어 나를 넣고 또 칠보와 노비를 배안에 가득 실어 바다에 띄우면서 빌기를, 인연 있는 곳에 가서 나라를 세우고 집을 이루라 하였다.”

이상, 탈해가 동해 아진포에 이른 경과와 내력을 기술하였다. 여기에 등장하는 ‘해척(海尺)’은 바다에서 일하는 관원인 해관(海官)으로 보아 아진의선은 하서지촌 아진포를 관장하는 인물로 보는 견해도 있고, 가척(歌尺), 무척(舞尺), 수척(水尺) 등의 용례로 볼 때 척(尺)은 기술자를 뜻하는 접미사로 보아, 고기잡이로 보는 학자도 있다. 일단 탈해임금의 무리가 동남아계통의 바다에서 출발하여 김해를 거쳤다가 신라로 들어온 것 같다. 다음 대목을 계속 살피기로 한다.

그 아이가 지팡이를 끌며 두 종을 데리고 토함산(吐含山)에 올라 석총(石塚)을 만들고 7일 동안 머무르면서 성 안에 살만한 곳이 있는가 바라보니 마치 초생달 같이 둥근 산봉우리가 있어 지세(地勢)가 오래 살 만한 곳이었다. 찾아보니 바로 호공(瓠公)의 집이었다. 이에 몰래 숫돌과 숯을 그 곁에 묻고 이튿날 이른 아침에 그 집 문에 가서 이것이 우리 조상 때의 집이라 하였다. 호공은 그런 것이 아니라 하여 서로 다투어 결단치 못하고 관가에 고하였다. 관에서 증거를 대라하매, 말하길, “우리는 본래 대장쟁이었는데 잠시 이웃 시골에 간 동안 다른 사람이 빼앗아 살고 있으니 그 땅을 파보면 알 것이다”고 하였다. 그 말대로 파보니 과연 숫돌과 숯이 있으므로, 그 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때 남해왕이 탈해가 슬기 있음을 알고 맏 공주로 아내를 삼게 하니 이가 아니부인(阿尼夫人)이었다.

이상, 탈해가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과정인데, 모략을 꾸미는 것이 지모는 있으나, 어질지 못하다. 그런데 벌써 철을 다루는 대장쟁이 라는 직업이 있었음을 알 수 있어 흥미롭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