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발생일수 늘고 시민 체감오염도 악화"
대경연구원 ‘영남권 대기환경청’ 신설 주장

미세먼지 농도가 200㎍/㎥을 넘겨 주의보가 발령된 5월 6일 대구 달서구 와룡산 전망대에서 한 시민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도심을 바라보고 있다. 경북일보 자료사진.
대구도 더는 미세먼지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먼지 체감오염도가 증가 추세여서 미세먼지 배출원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관리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구 주변 경북과 부산·울산·경남권역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이 국내 배출량의 큰 비중을 자치하는 점을 고려해 (가칭)영남권대기환경청 신설 필요성이 제기됐다.

대구경북연구원 도시지역연구실 김기호·조영탁 박사는 31일 ‘미세먼지, 발생원별 관리가 중요하다’라는 주제의 대경 CEO 브리핑 제516호를 통해 이렇게 지적했다.

대구의 연평균 미세먼지(PM10) 오염도는 2001년 67㎛/㎥에서 2012년 42㎛/㎥까지 개선됐다. 2013년 2014년 45㎛/㎥, 2015년 46㎛/㎥로 국가가 정한 환경기준인 50㎛/㎥ 이하를 밑도는 수치까지 갔지만, 2020년까지 목표로 정한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 기준치인 45㎛/㎥ 이하를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조영탁 박사는 “대구에서 황사 발생 일수가 늘고 발생농도도 높아지면서 시민이 체감하는 미세먼지 오염도는 악화하고 있다”며 “최근 5년 간 연평균 100회 이상 환경기준 초과 횟수가 발생했고, 일 평균 환경기준 역시 94회에서 128회까지 초과했다”고 지적했다.

대구는 대기가 정체될 수 밖에 없는 분지 지형이라는 특수성에다 강수량이 감소하고 있고 경유 자동차가 늘어나는 등 복합적인 이유로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대구지역 미세먼지 총배출량은 1천310t으로, 이 가운데 90%가 화물차와 건설장비 등의 이동 오염원과 섬유제품제조업 및 금속제품 제조업 등 제조업 연소 부문이 주요 배출원으로 분석됐다.

특히 산업단지와 공단이 많은 북구와 서구, 달서구의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상업지역이 집중돼 차량통행량이 많은 중구도 시민이 체감하는 오염도가 높은 지역으로 꼽혔다. 최근에는 국가산업단지와 테크노폴리스 등 대규모 공사가 진행된 달성군을 오가는 건설장비에서 배출량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기호·조영탁 박사는 미세먼지 배출 특성을 고려해 지역 배출원을 특화한 맞춤형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북구와 서구, 달서구는 산업단지와 제조업 연소가 원인이 되고, 중구와 수성구는 도로이동오염원 등 인구 유동, 남구는 요식업과 비산업 연소, 동구와 달성군은 건설기계 등의 건설활동이 주된 오염원이 되고 있다. 8개 구·군별 특성에 기반을 둔 집중관리와 특화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기호 박사는 “대구시와 기초 지자체가 역할을 분담해 생활밀착형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펴야 한다”면서 “미세먼지가 심각한 지역에는 노후 경유차 통행 제한을 정하고 미세먼지 저배출 구역을 지정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 “대구를 둘러싼 경북과 부산·울산·경남 광역권역의 미세먼지와 아황산가스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국내 배출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점을 고려해 영남권 대기질 총괄 관리 중추기관으로 (가칭) 영남권대개환경청을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