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불법, 자연도태 후 정비 바람직"…업주측 "노숙인 급식소 설치"

지난 2일 오후 대구 중구 도원동 성매매집결지 자갈마당에서는 취재진 차량에 호객행위를 하려는 종사자들이 몰려들었고 사진 촬영을 하자 자취를 감췄다.(왼쪽). 자갈마당 내에 7일부터 문을 여는 무료급식소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
대구 중구 도원동 3번지 일대 1만4천483㎡(약 4천398평) 부지 내에는 37개 업소에 110여 명의 성매매 여성이 생활하고 있는 속칭 ‘자갈마당’이 있다.

이곳에 7일부터 격주 수요일마다 무료급식소가 운영된다.

‘도심부적격시설’이라는 꼬리표를 달아 ‘고사(枯死)’ 시키려는 대구시 등에 맞선 자갈마당 업주와 종사자들의 항변이다.

10월 자갈마당 인근 1천245세대 대단위 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7월부터 고사 작전의 고삐를 옥죄겠다는 대구시 등의 방침에 ‘도원동 무의탁여성보호협의회’라는 이름으로 생존권을 내건 업주와 종사자들의 저항이 거세다.

양측의 생각을 들어봤다.

▲엄연한 불법, 자연도태 후 정비 바람직

집창촌 출입구 5곳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LED 경고문 30여 개를 배치해 성 매수자들의 출입을 압박하는 등의 방법으로 폐쇄를 추진하고 있는 대구시는 자갈마당 자체가 불법이어서 업주와 종사자들의 요구를 들어줄 뜻이 없다.

지형재 미래전략담당관은 “엄연한 불법과 협상할 수 없다. 불법 성매매의 상징적 장소인 자갈마당 폐쇄는 풍선효과 등의 부작용보다는 이익이 더 많을 것으로 장담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상담소 설치와 더불어 최대 2천만 원을 지원하는 등 종사자들을 위한 대안도 마련했지만, 업주와 건물주는 불법 영업에 따른 이익이 상당해 보여 생존권을 논할 수 없다”면서 “집창촌으로서의 기능을 없애는 것을 1차 목표로 연말에 개발방안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정비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생존권 달린 문제, 재개발까지 기다려달라

“생존권이 달렸으니 재개발 때까지 유예기간을 달라는 겁니다. 입주예정 아파트 분양권 가치 하락을 우려한 떴다방들의 요구만 듣는 대구시가 원망스럽습니다.”

지난 2일 오후 2시 지형재 대구시 미래전략담당관과 간담회 자리에 선 김화수 도원동 무의탁여성보호협의회 고문은 재개발하면서 업종 변경을 변경하면 자연스럽게 성매매집결지로서의 기능을 잃게 될 것이고, 그동안 생존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원철 회장은 “무료급식소로 노숙인과 노인이 들끓는 곳으로 만들 것이다. 이는 작은 저항일 뿐”이라면서 “7월부터 순찰활동이 시작되면 돌발사태 등 심각한 갈등을 빗겨갈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불법 영업으로 막대한 이익을 누린 적이 없어서 오로지 몸뚱이 하나로 저항하고 있다”면서 “스스로 정리할 시간을 달라”고 호소했다.

▲자갈마당 정비 어디까지 왔나

2004년 성매매특별법 제정 이후 전국 성매매집결지 35곳 중 11개가 폐쇄됐으나, 1908년 일본인들이 일본식 유곽을 조성한 것을 계기로 생긴 자갈마당은 건재했다. 2015년 중앙정부의 강제 폐쇄 정책에도 끄떡없다.

지난해 대구시는 성매매 피해자 등의 자활지원 조례를 제정했고, ‘도원동 도심부적격시설 주변 정비 추진단’을 꾸려 운영 중이다.

올해 초 자갈마당 인근 센트럴자이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이 도원동·수창동 일대의 환경개선을 요구하면서 성매매집결지 주변 정비가 본격화됐다.

출입구에 CCTV를 설치하고 발광다이오드(LED)로 된 성매매 불법 경고문과 보안등을 설치해 이곳을 드나드는 성 매수자들을 압박했다. 3월 9일에는 성매매 업주와 종사자 300여 명이 대구시청 앞에서 생존권 결의대회를 열어 거세게 저항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