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수도권 신도시 일부 지역의 부동산시장이 과열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대선을 전후해 서울 강남 재건축 단지에서 시발한 집값 급등세가 이상기류를 보인다. 반면에 대구 지역 부동산 시장은 정상적이어서 대조적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대구는 지난해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띤 적이 있다. 당시에는 장기간 침체한 대구 부동산 시장이 잠시 반짝한 것이다. 과거 노무현 정권 때 서울지역 아파트 등 수도권 부동산 가격의 급등으로 이들 지역 부동산 소유자와 대구 등 지방 부동산 가격의 격차는 더욱 벌어져 상대적 주거 불평등이 심해졌기에 우려된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10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과열 조짐을 보이자 지난 4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도 “부동산 시장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30일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현미 의원은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푼 것이 지금의 가계부채 문제를 낳은 요인”이라며 규제 정책을 시사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8월 중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계부채 종합관리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우선 정부의 정책이 나오겠지만, 그것으로 집값 상승세를 잡을 수 없을 것이다. 공인중개사들은 “시장은 이미 고삐가 풀린 상태”라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어정쩡한 대책은 시장 열기를 더 달아오르게 할 것”이라며 정책이 시장의 혼란을 부추겨 가격 상승을 이끌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도권 부동산값이 폭등하는 경우 주거불안 문제가 커질 수 있다. 대구 등 지역 주민들은 자녀들이 서울로 대학을 다녀도 집 살 생각은 엄두도 못 낸다. 지방 부동산 가치의 상대적 급락으로 인한 지방주민들의 부동산 박탈 경험에 대한 기억이 생생해서 우려되는 현실이다. 그러니 자라 보고 놀란 지방거주민들은 솥뚜껑 보고도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돈이 수도권에 몰려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주택 실수요자나 서민 계층 특히 지방거주민 등에 뜻하지 않은 피해를 줄 수 있다. 너무 늦으면 안 된다. 당장 대책을 세워 더 가열되는 것은 차단하고 지방 부동산시장에 대해 중앙정부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