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규_대구교대교수2014.jpg
▲ 양선규 대구교대 교수
인간에게 자유란 무엇인가? 한 번씩 그런 질문을 던져볼 때가 있습니다. 나이 들어서 할 일이 점점 줄어들면서 더 그렇습니다. 뾰족한 답이 나올 리 없습니다. 그런 게 과연 있기나 한 것인가? 그런 생각도 가끔씩 듭니다. 모르겠습니다. 만약 있다면, 작은 출구 하나 정도는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만 그것도 짧은 한평생, 자력으론 찾기가 어렵습니다.

K가 도착했을 땐 늦은 저녁이었다. 마을은 눈 속에 깊이 묻혀 있었다. 성이 있는 언덕은 안개와 어둠에 잠겨 있어서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큰 성의 단서가 될 만한 불빛 한 점 없었다. K는 오랫동안 큰길에서 마을로 이어지는 나무다리 위에 서 있었다. 아마 허공이지 싶은 부분을 쳐다보고 있는 것 같았다.

잠시 후 그는 잠잘 곳을 찾아 나섰다. 주막에는 아직 불이 켜져 있었지만 빈방은 없었다. 주인은 때늦게 찾아온 손님에 놀라 당황하는 기색이었다. 식당에서 짚자리를 깔고 잘 것을 권했다. K는 좋다고 했다. 농부 몇 사람이 아직도 맥주를 앞에 두고 앉아 있었지만 그는 누구와도 얘기를 나누려고 하지 않았다. 다락방에서 손수 짚자리를 가져다 난로 근처에 깔고 드러누웠다. 식당 안은 따듯했고 농부들은 조용했으며, 그는 지친 눈으로 그들을 조금 훑어보다가 잠이 들었다. (프란츠 카프카, 오용록 옮김, ‘성’, 일부 표현 인용자 수정)

‘출구 없는 생(生)’을 묘사한 작가로 프란츠 카프카 (Franz Kafka, 1883-1924)가 유명합니다.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난 카프카는 현대 사회 속 인간의 존재와 소외 문제를 소설로 표현했습니다. 법학도였던 카프카는 가장 현실적인 업무(노동 관련)에 종사하면서도 현실에 함몰되지 않았습니다. 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드는 상황 설정 속에서 인간의 실존적 존재의의를 깊이 천착했습니다. 무력한 인물들과 그들에게 닥치는 기이한 사건들을 그려냄으로써 문명 세계 속의 불안과 소외를 폭넓게 암시하는 매혹적인 상징주의를 이룩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사후에 발표된 미완의 장편 ‘성(城)’ 역시 그런 카프카적 주제에 충실한 작품입니다. 인용 부분은 ‘성(城)’의 서두 부분입니다. 아무런 사전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이 소설을 읽다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평범한 자문자답이 독자의 뇌리 (상상력) 속에서 오고 갈 수가 있을 것입니다.

1. K는 왜 하필 ‘늦은 저녁’에 도착했을까? 아마 먼 곳에서(격리-시련) 출발했을 것이다. 2. 왜 성은 보이지 않는 것일까? 목적지 성의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어떤 불길한 예감을 불러일으킨다. 3. 선한 이웃으로 보이는 농부들의 등장은 어떤 의미일까? 주인공 K와 농부들과의 관계는 대체로 우호적이다. 주막집 주인과의 관계도 나쁘지 않다. 자연, 환경, 운명과의 불화와 인간들끼리의 화해가 어쩌면 이 소설의 핵심 포인트가 될지도 모르겠다. 4. K는 왜 이곳에 왔을까? 그의 용무는 무엇일까? 앞으로 그에게는 어떤 일이 닥칠까? 앞으로가 궁금하다.

K는 성의 주인인 백작의 초대를 받은 측량기사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우리의 예감대로, 자신이 초대받은 용무와는 전혀 관계없는 일들에 부딪히게 됩니다. 목적지인 성에는 끝내 들어가 보지도 못합니다. 백작도 만나지 못합니다. 우연한 만남과 K의 사색만 있습니다. 그 이야기조차 미완입니다. 밑도 끝도 없는 이 소설은 ‘알아듣기는 힘들었지만, 그녀가 한 말은...’ 으로 끝납니다. 100년이 지나도 여전한 것 같습니다. 여전히 성은 안갯속에 가려져 있고 출구는 없습니다. 다만, 그렇게 ‘출구’를 의식하는 일을 망각하지 않는 일만이 유효할 뿐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