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라는 사회학 개념이 있다.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돼 중산층 이상의 계층(gentry)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을 말한다. 1964년 영국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처음 사용하면서 일반화 됐다. 영국 런던의 첼시와 햄프스태드가 대표적 사례다.

우리 나라에도 서울, 부산, 대구 등 대도시 뿐 아니라 포항과 경주 등 중소도시 곳곳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에서는 인사동과 대학로에서 시작돼 홍대, 신촌, 합정, 북촌, 서촌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용산구 이태원의 경리단길이 대표적 사례로 전국 곳곳에 유사 이름을 딴 도시재생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최근 경주에도 경리단길의 이름에 지역 명칭을 붙인 ‘황리단길’이 핫 프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황리단길은 경주 황남동의 봉황로와 내남사거리에서 황남동 주민센터까지 이어지는 편도 1차선 도로다. 이곳은 그동안 개발이 되지 않아 경주 시내에서 가장 낙후된 곳이었다. 낡고 오래된 기와집과 슬레브집이 이어져 있던 곳인데 지금은 완전히 모습을 바꿔가고 있다.

황리단길 양쪽으로는 외관은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한 채 젊은이들이 좋아할 만한 음식점이나 손수 만든 장신구를 파는 가게와 커피숍 등이 즐비하다. 지금도 오래된 건물을 지붕과 뼈대만 남겨두고 내부를 현대적으로 꾸미는 작업이 이곳 저곳에서 뚝딱뚝딱 진행 중이다. 평일은 물론 주말이면 관광객들이 이곳에서 빌려주는 한복을 차려입고 예 모습을 간직한 골목길을 배경 삼아 연신 카메라의 셔터를 눌러댄다. 외국인들이 찾아와 길가에 앉아 커피를 마시고 있으면 마을 할머니가 지나면서 다정하게 인사를 하는 이채로운 풍경도 볼 수 있다.

황리단길은 최근 경주시가 추진한 공모사업에 주민들이 제안한 사업이 선정돼 더욱 활발한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곳에는 외지의 자본이 밀려 들어와서 소박한 주민들의 삶의 터전을 밀어내고 있다. 문재인정부는 5년간 50조 원을 들여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하겠다는 공약을 내 걸었다. 하지만 관 주도로 밀어붙이면 부작용이 클 것이다. 현지 주민이 참여할 수 있게 도시재생 정책을 정교하게 다듬어야 할 것이다.

이동욱 편집국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