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 권용석·현준용 박사…시민 건강보호 대책 마련 쉽지 않아

대구시 구·군 단위 미세먼지 정보 제공 서비스와 미세먼지 분포 변화.
하나의 행정구역 안에서도 국지적으로 변화가 큰 미세먼지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기 힘든 대구의 대기측정 시스템으로는 미세먼지로부터 시민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 권용석·현준용 박사가 28일 대경 CEO 브리핑 제519호 ‘미세먼지 대책, 과학적 모니터링이 출발점’이라는 주제의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대구시가 11개의 도시대기측정소만으로 수집한 자료만으로 대구의 미세먼지 발생원인과 위험지역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어려워서 효과적인 시민 보호 대책 마련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권 박사 등에 따르면, 대구는 행정구역 11개 내 측정소에서 모니터링한 수치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일괄적인 예·경보 조치를 하고 있고, 구·군 단위로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대 시민 온라인 정보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문제는 미세먼지가 하나의 행정구역 안에서도 국지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측정소로는 미세먼지의 발생원과 위험지역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반야월초등학교와 신암5동 주민센터 주변 등 2곳에 측정소가 설치된 동구의 경우 연료산업단지와 공업지역을 낀 동구 안심 일원에서 미세먼지가 높은 밀도를 보였지만, 팔공산과 대구공항 주변은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도 평균값으로는 미세먼지 밀도가 낮게 나와야 하는 팔공산 권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대와 다르게 보통 정도로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평균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11개 측정소 중 구·군 단위의 대푯값으로 삼기에 위치가 부적절한 사례도 확인됐다. 달성군의 경우 현풍면에서 측정한 값으로는 북쪽에 있는 하빈면과 다사읍, 최정산 때문에 고립된 가창면의 미세먼지 위험 정도를 판단할 수가 없다. 달서구도 측정소도 서쪽에 치우쳐 있어서 최근 인구가 많이 유입된 동쪽 월배 지역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영향 파악도 힘들다.

수도권과 부산권의 경우 대도시 주변 시·군에 미세먼지 측정망을 조밀하게 설치해 월경성(越境性) 미세먼지로부터의 위협수준을 어느 정도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대구는 인접 시·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지역은 경산시 한 곳밖에 없기 때문이다.

권 박사는 “미세먼지 농도가 한 행정구역 내에서도 다양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서는 통계를 그대로 믿을 수 없는 상황도 발생한다”며 “행정구역 전체 지역 측정값의 평균은 실제 특정 지역에서 위험 수준을 훨씬 넘어서더라도 평균화 과정에서 국지적 차이가 상쇄돼 결국 양호하다는 엉뚱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보건환경연구원 생활건강과 측은 “측정소는 목적과 적용 범위 등을 모두 따져서 대표성이 있는 위치에 설치해 문제가 없다”면서 “측정소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올해 안에 수성구시지 쪽과 달서구 대곡지구에 각각 1개씩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용석·현준용 박사는 대구의 미세먼지 모니터링 강화 방안으로 택시 40대에 센서를 부착해 대기환경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는 시범사업인 ‘초연결 지능데이터 생태계 구축 사업’으로 미세먼지 측정망을 고도화할 것을 비롯해 영천과 칠곡, 청도 등 대구대도시권 시·군과 공조해 광역 측정망을 구축할 것, 행정동이나 그 이하 공간 단위의 정보제공과 더불어 측정소 단계적 추가 배치 등을 주문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