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개발 성공은 ‘따라잡기(catch up)’ 성공이 촉진제가 됐다. 1960년대 세계 경제, 세계 무역의 흐름을 제대로 타고 가속적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성과는 박정희정부의 강력한 산업정책 덕분이었다. 박정희정부는 처음부터 선진국형 공업구조를 염두에 두고 비료, 정유, 화섬, 석유화학, 종합제철, 자동차, 조선, 전자, 화학, 금속공업, 건설을 연차적으로 추진했다.

정부는 해당 산업에 진출하는 기업에 재정, 금융, 무역상의 각종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했다. 정부의 전략산업 선정 과정에서 기업인과 정치인, 관료들의 결탁으로 정경유착에 의한 부정부패의 부작용도 있었다. 하지만 정부의 전반적인 산업정책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실패하지 않았던 것은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개발에 대한 의지와 도덕적 능력이 주효했기 때문이었다.

경제개발 일념으로 똘똘 뭉친 박 대통령은 수출증대와 공업화에 온 관심을 쏟았다. 박 대통령은 매월 수출진흥 확대회의를 열어 수출 유공자를 표창하고 회의에 참석한 수출업자들의 건의와 애로사항을 경청한 후 수출을 독려했다.

경제개발에 필요한 일이라면 만인이 반대해도 개의치 않았다. 한일 국교정상화에 대한 야당과 대학생들의 반대가 격렬했지만 기어코 성사시켜 경제 개발을 위한 자금을 확보했다. 수출증대와 공업화를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민주주의 원칙과 절차를 종종 무시해 독재자라는 소리도 들었지만 제3세계권의 부패한 독재자처럼 재산을 치부하는 따위의 일은 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휘하의 정치인과 관료들이 해이와 부정부패에 빠져 산업정책 자체를 파탄 내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역대 최장수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김정렴 실장이 9년간 비서실장에 있으면서도 아무런 잡음을 일으키지 않은 것은 박정희 대통령의 처신의 영향이 크다고 했다. 누가 뭐래도 박정희는 한국 경제개발의 대부다.

박정희 탄생 100주년 기념우표 발행 여부가 미궁에 빠졌다. 만장일치로 발행을 결정한 우표발행심의위원회가 정권이 바뀌자 다시 심의하겠다고 해 논란이다. 공은 공이고 권력은 권력이다. 참 어처구니없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