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이내 경상북도 7개 시군이 ‘인구 소멸’ 지역이 될 것이라는 관급보고서가 나왔다. 거주인구가 한 명도 없어 인구가 소멸한다는 충격적인 전망이다. 전국에서 도내가 전국 시도 중 가장 많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발표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 인구 소멸 예상지역을 도출한 결과 30년 안에 전국 시·군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84곳, 1천383개 읍·면·동이 ‘인구 소멸지역’(거주인구가 한 명도 없는 곳)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미니 지자체는 봉화군·의성군·예천군· 영양군·상주시·영덕군·울릉군 등 전국 31곳이다. 안동시는 인구 감소 검토 지역, 울진군·고령군·경주시·문경시·영주시 인구 감소 신중 검토 지역으로 분류됐다.

경북도와 산하 시군에서는 그동안 인구 사수 정책을 모색해왔다. 경북도는 내년부터 ‘도시 청년 시골 파견제’를 본격 시행한다. 영양군에는 ‘부모-지자체 공동육아 시스템’과 ‘인구 지킴이 민관 공동체 대응센터’를 세워 2025년까지 2만 명 회복을 목표로 삼았다. 안동시는 서울시민의 귀농 유도를 위해 서울 성동구 안동빌딩에 ‘안동 귀농·귀촌 학교’ 운영을, 영주시는 ‘소백산 귀농드림타운’를 지난해 6월 전국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그 결과 귀농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2015년 경북 귀농 인구는 총 3천683명이고 귀촌 인구는 4만7894명이다.

지난 7일 열린 ‘지방소멸, 경상북도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주제 미래전략세미나에서 경북도 안병윤 기획조정실장은 “포항, 구미, 칠곡, 경산, 김천, 안동 등은 지속 가능한 자체 성장엔진을 갖추고 있다며 다른 시군 발전에 적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에서 나고 자란 청년들이 고향에서 먹고사는 구조를 만들어 나가고, 젊은 여성들의 정주 환경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업화 시대 ‘향도이농(向都離農)’으로 농촌 인구감소는 피할 수 없었다. 대구시 인구가 81만이던 1965년 예천군 인구가 16만6천 명에 달했으나 예천은 현재 4만 명대다. 다시 ‘향촌이도(向村離都)’ 시대를 맞이해야 한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늘어나면서 가능성이 없지 않다. 농촌으로 견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고령 인구 비율(21.4%)보다 유소년인구 비율(14.6%)을 높여야 한다. 농촌 지역의 소득·의료·교육·문화 등에 대한 투자가 확대돼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