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 당시 700여명 경찰로 이동···현재 복귀 신청은 100여명
업무 정상화 위해 인력 충원 시급

포항해양경찰서는 26일 현판 제막식을 갖고 건물 상단에 설치된 포항해양경비안전서 간판을 내리고 포항해양경찰서로 교체했다. 포항해양경찰서 제공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해양경찰이 부활하면서 포항해양경찰서 간판이 2년 6개월여 만에 다시 내걸렸다.

포항해양경찰서는 26일 현판 제막식을 갖고 건물 상단에 설치된 포항해양경비안전서 간판을 내리고 포항해양경찰서로 교체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5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해양경찰청을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독립시키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심의·의결하고 이날 공포·시행한 데 따른 것이다.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물어 2014년 11월 해양경찰이 공식 해체되고 이듬해 해경 간판이 내려진 지 2년6개월여만이다.

해양경찰이란 이름을 되찾으면서 가장 큰 변화는 수사 분야다.

동해해양경비안전본부 경비안전과에 소속돼 있던 ‘수사정보계’가 동해해양경찰청 수사정보과로 격상된다.

수사정보과는 수사계를 비롯해 정보계, 보안계, 과학수사계, 광역수사팀, 국제범죄수사대로 꾸려진다.

또 포항해양경찰서 해양수사정보과도 수사과(형사계, 수사계)와 정보과(정보계, 외사계, 보안계)로 분리된다.

해경이 해체되면서 경찰로 넘어간 수사와 정보 기능이 되살아 난 것.

이와 함께 죽변, 후포, 축산, 강구, 영일만, 포항, 호미곶, 구룡포, 감포 9개 해양경비안전센터도 파출소로 명칭이 변경된다.

하지만 업무 정상화를 위한 난제도 쌓여있다.

당시 해경은 수사·정보 인력 정원 505명과 실제 인력 200명을 경찰로 넘겼다.

동해해경청에서 경북지방청으로 자리를 옮긴 인원만 29명으로 이 중 포항해경서 12명도 소속이 변경됐다.

경찰로 자리를 옮겼던 해경 인력들 대부분이 복귀를 꺼리면서 인력 복귀나 충원 등에 대해 결정된 바가 아직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경찰청은 지난 25일부터 해경인력을 포함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해경 이전 신청자를 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신청자는 100여 명 정도로 알려졌다.
해경은 향후 충원 계획 등을 고려하면 해경 출신 경찰들이 복귀하지 않아도 큰 문제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지만 자칫 이 과정에서 경찰과 마찰을 빚을 경우 또 다른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더불어 현재 해경 정보·수사 인력이 크게 줄어든 이후 정보 수집이나 수사 활동이 사실상 이뤄지지 않은 지 이미 상당한 시간이 흘러 인력 충원이 빠르게 되지 않을 경우 정상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오윤용 포항해양경찰서장은 “조직개편을 통해 더욱 안전한 바다를 만들고 국민을 위한 해양경찰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