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릉도 주변 섬들을 지배한 고대 해상왕국

독도

충절과 의기의 대장부 김제상[박제상] 이야기 다음에 제18대 실성왕(實聖王)과 제21대 비처왕[소지왕], 제22대 지철로왕[지증왕] 시대의 이야기가 나온다.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의희(義熙) 9년 계축(癸丑:413년)에 평양주(平壤州)의 대교(大橋)가 완성되었다. 실성왕은 전왕(前王)인 내물왕의 태자(太子)인 눌지(訥祗)가 덕망이 있는 것을 꺼려서 이를 죽이려고 고구려의 군사를 청하였으나, 눌지의 어진 행실에 감동한 고구려 사람들이, 오히려 실성왕(實聖王)을 죽이고 눌지를 임금으로 세우고 돌아갔다.

여기서 우리는 당시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입김이 대단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제17대 내물왕은 13대 미추왕 이후, 처음으로 김씨계가 왕권을 장악하고 이후 계속 왕통을 지켜나간 명군으로서 신라의 국격과 군주의 권위를 높인 임금으로 평가된다. 내물왕대에 왜와 백제가 침략이 있었는데,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이 5만 명의 군사로 백제군과 연합한 왜군을 크게 격파해 주었고 광개토왕비에 백제와 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는 기록, 내물왕이 실성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낸 점 등을 고려할 때, 신라가 거의 고구려의 지배하에 있은 듯하다. 실제 경주 호우총(壺?塚)에서 출토된 고구려 그릇인 호우명 그릇 밑바닥에 ‘을묘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십(乙卯年國?上廣開土地好太王壺?十)’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고구려의 위세를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의 위력을 부담스러워 한 신라 제19대 눌지왕은 백제와 나제동맹을 맺는다.

다음은 ‘금갑(琴匣)을 쏘다“란 신기한 이야기다. 제21대 비처왕(毗處王) 또는 소지왕(炤智王)이 즉위 10년에, 천천정(天泉亭)에 거동했다. 이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찾아 보시오”하였다. 따라가다가 어느 못에 이르렀는데, 한 늙은이가 못 속에서 나와 글을 올렸다. 그 글 겉봉에, “이 글을 떼어 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떼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입니다”했는데, 일관(日官)이 아뢰길, “두 사람이라 함은 서민(庶民)을 말한 것이요, 한 사람이라 함은 바로 왕을 말한 것입니다”하여, 임금이 그 말을 옳게 여겨 글을 떼어 보니, “금갑(琴匣)을 쏘라[射琴匣]”고 했다. 곧 궁중으로 들어가 거문고 갑(匣)을 쏘니, 어떤 승려와 궁주(宮主)가 사통하고 있어 이들을 사형(死刑)에 처했다. 이후로 해마다 정월의 상해(上亥)·상자(上子)·상오일(上午日)에는 모든 일을 조심하고, 16일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을 지어 제사지내는 것이 풍속이 되었다. 노인이 나온 못은 서출지(書出池)라고 불리게 되었다. 삼국유사의 다음 기록은 지증왕이라는 시호를 받은 제22대 지철로왕(智哲老王)의 이야기다.

서출지

이 때 특기할 일은 이사부가 우산국을 평정한 사실이다. 아슬라주(지금의 강릉지방) 동쪽 바다에 순풍으로 이틀 걸리는 거리에 우릉도(于陵島, 고려시대 羽陵)가 있었다. 이 섬은 둘레가 2만 6,730보였다. 섬에 사는 무리들이 교만하여 조공을 하지 아니하므로, 이찬 박이종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치게 하였다. 박이종(朴伊宗,신라장군 이사부)은 나무로 사자를 만들어, “너희가 항복을 하지 않으면 이 사자를 놓아 버리겠다.”고 위협하여 항복을 받았다. 이에 왕은 박이종에게 상을 주고 아슬라주의 주백(州伯)으로 삼았다. 이때는 지증왕 13년, 서기 512년이다. 삼국유사에는 우릉도라 하지만, 삼국사기에는 우산국(于山國)을 정벌하였다고 한다. 우산국이라 함은 우릉도를 중심으로 주변 섬들을 지배한 고대 해상왕국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맑은 날 보일 정도로 가까운 독도를 우산국이 지배하였다는 것은 매우 합리적인 해석이라 생각된다. 울릉도에서 87km, 뻔히 보이는 큰 섬을 지배하지 못한다면 ‘우산국’이란 국가를 칭하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작더라고 나라는 나라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