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석 새경북포럼 구미지역 위원 정치학박사.jpg
▲ 윤종석 정치학 박사, 새경북포럼구미지역위원
어린 시절 이를 잡는다고 아무렇지도 않게 DDT를 머리에 뿌렸던 경험은, 격동기 산업세대 이상이면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다. 이미 알고 있듯이 DDT는 기적의 살충제로 각광을 받다가 생태계와 인간에 해를 끼치는 주범으로 70년대 말 판매 금지된 약품이다.

살충제 계란 파문이 매스컴을 장식하면서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불안과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그냥 무심히 흘러들었던 유럽의 살충제 계란 파문이 우리나라가 더 심각할 줄은 이번 사태를 접하고서야 알았다.

흔히들 살충제와 살균제를 혼용해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엄연히 다르다. 살충제는 말 그대로 해충을 죽이는 화학약품이고 살균제는 미생물 균을 죽이는 약품인 것이다. 약의 독성은 둘 다 지니고 있지만, 살충제가 더 강력한 것은 두말할 필요 없다. 이처럼 살충제가 문제가 된 이유는 잔류성농약 때문으로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한 농약이 농산물과 토양. 수질 등 자연환경에 남아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살충제는 식용으로 쓰이는 동물에 직접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그런데도 아무생각 없이 공장식 대량사육과 생산을 위한 편의성으로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 등을 박멸하기 위해 닭에게 직접 사용하여 이번 사태를 만들었다.

지금도 우리 식탁에 오르는 많은 먹거리가 불결한 시설과 오염된 환경에서 사육되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인간의 눈먼 욕심이 불러온 동물들의 비현실적 사육방법은 우리의 건강을 고려하지 않은 위험한 먹거리를 제공한다.

복숭아 농장을 개간해 친환경 방사농장으로 육계와 친환경 달걀을 생산하던 착한 농부가 8년 만에 쪽박을 차게 된 뉴스는, 잔류농약의 심각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농부가 제초제나 살충제는커녕 항생제 하나 쓰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과거 복숭아밭에 사용한 DDT가 흙에 잔류한 것을 닭이 섭취하여 문제가 되었다면 매우 심각한 사건이다. 사실 그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인다면, 현 정부의 탈원전 기조정책의 이슈도 같은 사안이며, 원전 역시 가까운 미래에 어떤 이유로 시민의 생존과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을지 아무도 장담 못 한다. 즉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장기적 피해와 살충제로 인한 토양오염의 회복불능은 내용만 다를 뿐 국민의 삶을 위협하는 데서 맥을 같이한다고 본다.

그동안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해오던 진드기와 곤충을 죽이는 약제가, 사람이나 농작물을 보호하기는커녕 오히려 부메랑이 되어 사람에게 위협을 가할 줄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일이다.

마찬가지로 학자들 논쟁으로 시끄러운 탈원전의 정책 역시, 찬·반을 떠나 지금 예측하지 못한 일들이 미래에 발생할 수 있을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세월의 변화와 국민의 끊임없는 새로운 요구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시대의 부응이다. 그동안 아무렇지도 않고 대수롭지 않은 일들이 확대되며 사건화되는 것들이 새 정부가 추진하는 국정철학과 비전이며 끊임없는 개혁을 통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농작물과 산림보호를 위한 이유로 매년 증가되어 가는 살충제 살포와 후쿠시마원전사고와 경주지진 이후 원전의 피해를 염려하는 사안들 모두가 국민의 안전을 담보로 하고 있다는 점은 ‘세상에 공짜는 없으며 하나를 얻기 위해 다른 하나를 버려야 하는 제로섬게임’과 같다.

따라서 살충제와 탈원전뿐만이 아닌 많은 것들을 두고, 과연 무엇이 중요한지, 지금 오던 길을 꼼꼼히 뒤 돌아보면서 과정을 잘 점검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부끄럽지 않은 국민이 되기 위한 현명한 선택은 ‘인본주의(人本主義)’의 실천이며, 이 말은 “사람이 먼저”라는 국정철학과 같은 뜻이다.
윤종석 정치학 박사, 새경북포럼구미지역위원
조현석 기자 cho@kyongbuk.com

디지털국장입니다. 인터넷신문과 영상뉴스 분야를 맡고 있습니다. 제보 010-5811-4004

www.facebook.com/chopms

https://twitter.com/kb_ilbo

https://story.kakao.com/chopms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