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발 한 발 설레는 걸음 기막힌 절경에 감탄 만발

회룡포전망대에서 내려다본 회룡포 마을.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은 소백산에서 발원해 봉화와 영주를 지나 예천으로 흘러든다. 이 강은 예천 시내를 통과해 남쪽으로 흘러 용궁면을 지나갈 때 마을 하나를 350도 휘감아 돌아 흐르며 기가 막힌 절경을 남겨놓았다. 이곳은 휘감아 치며 돌아가는 형상이 마치 용과 같다고 해서 ‘회룡포’라 불린다. 회룡포는 안동의 하회마을, 영주의 무섬마을과 함께 경북의 3대 물돌이 마을 중 하나다.

마을에 들어가 보기 전에 비룡산에 있는 전망대가 눈에 들어온다. 이 곳에 가려면 ‘회룡포 전망대’나 ‘장안사’를 검색해서 찾아갈 수 있다. 산 중턱까지 차가 올라갈 수 있다. 주차 후 경사진 길과 계단을 조금 오르면 회룡포를 한 컷에 담을 수 있는 곳에 다다르게 된다. 시원하게 탁 트인 공간감과 그 아래 거대한 용 한 마리가 꿈틀거리며 흘러가는 장면은 대한민국 최고의 절경 중 하나다.
회룡포마을로 들어가는 뿅뿅다리.
전망대에서 내려오면 회룡포 마을로 들어가는 뿅뿅다리가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다. 원래는 강을 건너서 마을로 들어갈 수 있도록 외나무다리가 있던 곳인데 지난 1997년에 철판으로 다리를 교체했다. 구멍이 뚫린 철판 사이로 물이 퐁퐁 솟아오른다고 해서 ‘퐁퐁다리’로 불렀으나 어떤 매체에서 보도를 잘못하는 바람에 ‘뿅뿅다리’가 됐다니 괜히 뿅뿅 소리가 나는지 확인해볼 필요는 없는 일이다.

다리 아래를 흐르는 물은 아주 얕다. 계절마다 수량은 다르겠지만, 지금은 발목까지 정도밖에 오지 않는다. 하얀 모래사장 위에 얇게 깔아놓은 듯 흐르는 물은 유속도 느려서 신발을 벗고 걸어보기도 괜찮을듯하다.
회룡포 마을.
회룡포는 드라마 ‘가을동화’에 나와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영상미가 좋았던 드라마로 유명하기도 하다. 그 이후에 1박 2일 등의 예능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명실공히 예천 관광의 중심이 됐다. 뿅뿅다리를 건너 마을 언덕에 오르면 넓은 평지가 눈앞에 나타난다. 강을 따라 산책로가 나 있고 그 길은 걸어서 둘러보기도 좋고, 전기 바이크를 빌려서 돌아보아도 된다.

회룡포를 지나온 내성천은 삼강리에서 금천과 만나고 이내 낙동강 본류와 합류한다. 이 지점은 삼거리인 셈인데 세 강이 만난다고 해서 삼강리로 이름 지어졌다. 세 강이 만나는 곳이니 뱃길과 물류의 중심지였을 것이다.
삼강주막.
사공과 보부상들이 들락날락거렸을 이곳에 오래전부터 주막이 이어져 오고 있는데 예천 명물 중 하나인 ‘삼강주막’이다. 지난 2005년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34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으며, 이듬해 마지막 주모인 유옥련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난 뒤 방치돼 있었다고 한다. 다음 해 다시 보수공사를 하고 다양한 관광문화 콘텐츠를 입혀서 현재는 예천 관광의 필수코스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삼강주막마을.
1900년경에 지어진 이래, 주막은 삼강나루를 이용하던 보부상들의 안식처가 되어준 곳이다. 작은 건물이지만 4등분을 해서 방을 2칸, 부엌 하나에 대청마루까지 얹어놓아서 공간의 짜임새가 좋다. 너무 깔끔하게 복원을 해서 오히려 옛 멋을 찾아보기는 힘들어서 다소 아쉽긴 하다. 주막의 뒤편에는 수령 500년이 훌쩍 넘는 회화나무가 주막건물을 보호하는 듯 감싸고 있다.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
삼강주막 뒤편으로는 삼강나루터가 있다.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이 펼쳐지는데, 지금은 다리가 놓여있지만 예전에는 나룻배를 타고 이 강을 건넜을 것이다. 서울로 장사하러 가던 보부상들은 육로를 이용하다가 이곳에서 반드시 배를 기다려야 했다. 그래서 이곳은 팔도의 다양한 물건들을 구경할 수 있는 곳이자, 교류의 장이었고 곳곳의 정보들이 교류되던 허브였다.
들돌 들기.
삼강주막 건물 뒤에 돌덩이들이 놓여 있다. 들돌이라고 불리는 이 돌덩이들은 다양한 크기로 널려 있는데, 예로부터 농촌의 장성한 청년들이 어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 근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된 돌이다. 특히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나루터 등에서 품값을 책정하기 위해 돌을 들어보게 했다고 한다. 이 돌을 지켜보시던 어르신 한 분이 두 팔을 걷어붙인다. 왕년에 힘을 좀 써보셨다는데 좀처럼 돌이 들리지 않는다.
예천공처농요 행사를 촬영하고 있는 아이.
때마침 삼강주막의 상설공연장에서 예천공처농요 공연을 하고 있다. 농요는 농사일을 할 때 공동작업을 하며 불렀던 노래로서 힘든 일을 잊게 해주고 삶의 고달픔을 해소해주는 활력소였다. 예천지방에서 이어져 오고 있는 이 농요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돼 있다. 농요의 다섯 개의 구절 중 모심기소리 마당을 재현 중인 데 한 아이가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제법 능숙하게 사진을 찍으면서도 신기한 듯이 바라보고 있다. 선창꾼이 추임새를 넣을 때는 어깨를 들썩이기도 한다.
주막 문화를 즐기는 관광객들.
주막촌에는 부침개 냄새가 진동을 한다. 주막 옆에 지어진 보부상 숙소에서 찾아온 관광객들에게 음식들을 팔고 있는데, 옛날 주막에서 팔았을 법한 막걸리에 배추전과 부추전, 도토리묵 등이다. 초가지붕 아래 평상 마루에 앉아서 탁배기 한 사발을 쭉 들이키고 배추전을 부욱 찢어서 한입 가득 물어보면 좋을 것이다.

여행에서 빠질 수 없는 즐거움 중의 하나는 지역의 유명한 먹거리를 경험해보는 것이다. 삼강주막과 가까운 용궁면에는 순대가 유명하다. 얼마 전에 맛집 프로그램에 몇 군데가 소개되는 바람에 유명세를 타게 됐고, 이제는 예천 먹거리 여행의 1번지가 됐다. 특히 직접 방송을 탄 몇몇 식당은 주말에 줄을 서서 먹어야 할 정도다.
막창순대
이곳의 순대는 특이하게 빛깔이 하얗다. 막창으로 만든 용궁면의 순대는 비주얼부터 맛과 식감까지 기존 순대와 차별화가 된다. 겉을 감싼 막창은 두툼한 식감을 안겨주고, 속을 채운 찹쌀이 찰기를 더해준다.
순대국밥
국밥의 경우 걸쭉한 것이 바디감이 좋고 돼지 특유의 향이 많이 날 것이다. 비위가 좀 약하다면 다소 먹기가 힘들지도 모르겠다.
오징어불고기
여러 명이 갔다면 오징어불고기도 주문해 보면 좋을 듯하다. 연탄불 위에서 석쇠로 구워 바삭한 태운맛에 탱글탱글한 오징어의 식감이 돋보이며, 색상부터 매콤한 불향이 일품이다.
1030527_311425_5158.jpg
▲ 글·사진= 이재락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재락 시민기자
김선동 kingofsun@kyongbuk.com

인터넷경북일보 기자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