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태옥 의원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 조사가 지지부진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생존 애국지사(45명)와 외국인 서훈자(69명)를 제외한 고인이 된 독립유공자에 대한 묘소 소재(실태)를 확인한 결과, 소재(실태) 파악을 한 경우는 전체 대상자 1만4765명 중 7531명(51%)에 그쳤다.

올해로 광복 73년을 맞았지만 여전히 독립유공자 묘소 소재(실태)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는 전체의 49%인 7234명에 달했다.

이는 국회 정태옥 의원실이 지난 8월 국가보훈처로부터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소재) 전수 조사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2015년 광복 이후 처음으로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 조사에 착수해 지난해 연말까지 조사대상 서훈자 4508명 중 3134명에 대한 묘소 소재(실태)를 파악했으며, 유족과 연락이 닿지 않은 등의 사유로 1374명에 대해선 묘소 소재(실태)를 확인하지 못했다.

국가보훈처의 이후 조사 성과는 지지부진한 형편이다. 지난 3년간(2015~2017년) 매년 적게는 1000명에서 많게는 1905명을 대상으로 묘소 실태조사를 했지만 올해는 852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등 그 규모를 대폭 줄인 상태다.

특히, 후손이 없는 독립유공자 묘소 소재(실태) 조사는 답보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7월 말 기준 국가보훈처가 확인한 후손이 없는 독립유공자 6775명 중 묘소 소재(실태)를 파악한 경우는 648명에 그쳤다.

후손이 없는 경우는 국가로부터 독립운동과 관련해 유족으로의 등록 사실(보상금, 대부, 취업·교육 지원 등)이 없는 대상자 묘소를 의미한다.

국가보훈처는 이번 실태 조사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후손이 없는 독립유공자 116명에 대한 묘소 소재(실태) 조사에 나섰으며, 올 조사에서는 독립유공자 및 전몰군경 합동묘역과 지난 3년 간(2015~2017년) 조사에서 미확인된 묘소에 대한 실태조사로 방향을 선회한 상태다. 후손이 없는 묘소에 대한 실태조사는 손을 놓고 있다는 뜻이다.

실태 조사 후속 조치도 미흡하기 짝이 없다. 지난 3년간(2015~2017년)의 조사를 통해 국립묘지 이장을 희망한 묘소 317기(基)에 대한 실제 이장이 지원된 경우는 62기에 불과했다.

또한 묘소 단장 희망을 한 212기에 대한 실제 지원은 16기에 그쳤다.

정태옥 의원은 “올해로 광복 73주년을 맞았지만 국가는 여전히 고인이 되신 독립유공자 가운데 49%인 7234명에 대한 묘소 소재(실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면서“국가보훈처는 조속한 실태 조사 완료를 통한 산재 묘소 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등 독립유공자에 대한 국가적 책무를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기동 기자
이기동 기자 leekd@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 대통령실, 국회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