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무환 대구취재본부장
국방부가 대구공항 통합이전 예비 후보지를 발표할 날이 그렇게 멀지 않은 것 같다. 여러 가지 여건을 미루어 보면 군위, 의성이 이전 예비 후보지로 앞서가고 있는 판세이며 성주도 의사를 표명하고는 있으나 대세에서는 밀려 있는 듯하다.

이 시점에 공항이전을 놓고 군사공항(K-2)과 민간 공항이 함께 이전해야 한다는 통합론과 민간공항은 현재 위치에 놔둔 채 군사공항만 옮겨야 한다는 분리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은 통합이전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반면 이진훈 대구 수성구청장은 분리 이전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는 듯하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통합이전론을 강력하게 내세우고 있다. 분리이전은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다는 것. 그동안 수십 년 동안 군 공항이전을 요구해 왔고 대통령 공약으로도 두 번이나 채택됐지만 아무도 해결해주지 못했다. 재정 때문이다. 전국적으로 대구와 같은 군사공항은 16개이며 헬기장까지 합치면 60개가 넘는다. 대구에 있는 군사공항만을 이전해 줄 경우, 타 시도의 군사 공항도 예외 없이 옮겨달라고 틀림없이 주장한다. 따라서 모든 군 공항을 옮기는데 상상할 수 없는 국가 재정이 들어가게 된다. 결국, 대구공항통합 이전은 물거품이 된다는 것이다.

후보지를 품고 있는 김관용 경북도지사 의중은 어떨까. 한 마디로 군사공항(K-2)만 도내로 이전해 온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펄쩍 뛴다. 김지사는 지난 20년에 이르는 비즈니스 경험을 토대로 통합공항 이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5~6조 원에 이르는 투자유치를 했는데 공항이 절대적임을 느꼈다. 통합공항 이전은 대구·경북의 미래이며, 이전 시기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한다. 반면 이진훈 수성구청장을 중심으로 한 공항이전 분리론 층의 주장은 통합이전이 밀실행정이라며 제동을 걸고 있다. 공청회나 토론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날을 세우는가 하면 이전을 위한 주민투표제 도입도 주장하고 있다. 이런 논란 속에 동·북구 지역주민 30여만 명은 지금도 귀 고막이 멍멍해질 정도의 소음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기부 대 양여’라는 사업방식을 규정한 특별법은 2008년부터 5년간 수많은 토의와 협의 과정을 거쳐 2013년에 결정됐다. 정부가 재정(예산)투입이 불가하다는 상황에서 나온 ‘최상의 법’이라는 평가다. 대구시민이 K-2 이전을 추진해온 지는 40년이 지났다. 기부 대 양여라는 특별법이 생기지 전 K-2 이전은 꿈도 못 꿨다. 분리론을 주장하는 일부에서는 K-2를 이전하는데 국가가 재정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변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상 국가(국방부)가 재정 지원을 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국가가 단지 현금이 아닌, 현물인 K-2 부지를 대구시에 주고(기부) 그것을 팔아서 통합 신공항을 건설하라고 했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지금이 대구공항 이전 기회다. 이 기회를 놓치면 대구·경북의 발전은 또다시 수십 년 늦춰질지 모른다. 아니 영원히 신성장동력을 잃게 될 우려가 있다. 내륙도시로서의 한계를 벗어나 세계로 향한 열린 관문공항은 열려야 한다. 혹시나 정치적 목적에 대구공항이전이 휘둘릴까 염려스럽다. 정치 바람에 놀아나면 잘 될 것도 안된다. 대구공항이전은 철저히 대구·경북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건설돼야 한다. 대구공항 이전도 경제가 먼저다.

박무환 기자
박무환 기자 pmang@kyongbuk.com

대구취재본부장. 대구시청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