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성주군에 사드배치를 발표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사드배치 찬반으로 나뉜 주민 갈등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입니다.

지난 해 7월 13일 성주군 성주읍 성산포대로 최초 발표된 사드배치 부지는 성주군민의 분열을 남겨놓은 채 성주군 소성리 성주골프장으로 부지가 바뀌면서 인근 김천주민들의 반발까지 더해졌습니다.

특히 성산포대 발표 이틀 후인 지난 해 7월 15일 성주군을 방문한 황교안 국무총리와 한민구 국방부장관은 성난 성주주민들이 이들이 타고 온 버스를 막아 6시간 동안 움직이지 못하다가 탈출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사드배치 반대 시위에는 민주노총, 사드한국배치저지전국행동 등 진보단체가, 찬성 시위에는 행동하는양심실천운동본부, 서북청년단 등 보수 단체가 참여하면서 성주, 김천 주민 간의 갈등은 진보와 보수의 국민갈등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26일 새벽 미군은 이곳에 X-밴드 레이더, 사드 발사대 2기 등을 기습 배치해 운용 중입니다.

나머지 발사대 4기는 인근 미군 부대에 보관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드배치에 반대하는 성주, 김천주민들은 한국의 사드배치 정책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힌 문재인 정부를 불신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새 정부가 약속한 환경영향평가와 주민설명회 등으로 사드배치가 철회 될 것이라는 희망으로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박경범/ 소성리상황실 김천대책위
문재인 정부가 국회비준과 원점 재검토를 공약사항으로 얘기했기 때문에 지금 환경영향평가가 1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그러면 원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미국으로 사드를 철거하지 않더라도 미군부대 안에 사드를 철거 해놓고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고요. 그것이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것에 가장 기초적이고 진정성 있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이석주/소성리 이장
사드 찬성집회를 서북청년단 하고 보수단체에서 하는데 자기들이 그렇게 찬성을 하면은 자기지역에 유치를 해야죠. 사드가 그렇게 좋고 찬성을 하고 싶으면 자기 동네에 유치해 가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Still0714_00001.jpg


반면 13일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소성리 마을 회관 입구에서 사드배치 찬성 집회를 연 행동하는양심실천운동, 서북청년단 등 보수단체는 순진한 소성리 마을 주민을 범죄 집단으로 전락시킨 매국선동가들은 마을에서 물러가라고 촉구했습니다.

이어 경찰에 더 이상 이들의 불법과 망국행위에 굴복하지 말고 집회신고를 금지하는 등 법질서를 확립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정함철/행동하는양심실천운동본부 대표
사드반대 매국 선동가들은 소성리 마을에서 즉각 철수하라. 성주군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서 자행되고 있는 사드반대 매국행위를 규탄한다.

이 날 사드배치 찬성과 반대 단체들의 시위는 경찰에 의해 분리돼 100m 정도 떨어져 열렸고 찬성 단체들은 만일의 불상사에 대비한 경찰의 제지로 예정된 성주골프장 행진을 포기했습니다.

서경석 / 새로운 한국을 위한 국민운동 집행위원장 목사
우리가 원래는 합법적으로 사드 포대가 있는 군부대 앞까지 행진을 하기로 되어 있는데 그러면 당연히 경찰이 행진을 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줘야 됩니다. 그런데 지금 경찰은 ‘공권력을 강제 집행할 수가 없으니’ 길을 열어줄 수 없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돌아갑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행진 길을 막으려는 사드 배치 반대 주민들과 경찰의 심한 몸싸움이 있었습니다.

경찰은 10개 중대 700여 명의 병력을 동원했습니다.

한편 국회 안정행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유재중(부산 수영구)·이명수(충남 아산 갑)·윤재옥(대구 달서 을) 의원과 당 사드대책특별위원회 이종명 의원(비례대표) 등 4명도 이 날 소성리를 방문해 주민들의 불법적인 차량 검문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지만 정작 주민들은 만나지 않은 채 마을 입구에 내려 잠시 둘러보고 떠나는 무성의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윤재옥/자유한국당 국회의원
어쨌든 법은 지켜줘야 되지 않습니까. 도로를 불법으로 점거하고 또 권한이 없는데 통과하는 차량들을 검문검색하는 것은 법 위반이지 않습니까. 그런것들은 방치되면 안 된다는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로 사드배치 찬반 국민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는 가운데 국가 안보를 최우선으로 한 정부 판단과 국민 소통이 그 골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