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진대책에 동해안 해저단층 조사 빠져
전문가들 "활성단층 이어져···종합 연구 필수"

최근 들어 울산과 포항 등 동해안 해역에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고 있어 해저 지진 단층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반도가 지난해 11·15 지진으로 다시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판명 나면서 정부가 육지 단층 조사에 나선 가운데 해저지진 단층 조사는 이뤄지지 않아 해일 피해 등 해저지진 피해를 방지를 위해 해저 지진 단층 조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동해에는 지난 2016년 규모 5.0을 기록한 울산해역 지진과 2017년 12월 9일 규모 2.3의 지진에 이어 6일 오후 9시 9분 11초께 포항시 북구 동쪽 41㎞ 해역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지진이 잇따르고 있다.

과거에도 2004년 5월 29일 울진 동쪽 80㎞ 해역 규모 5.2, 1982년 3월 1일 울진 북동쪽 45㎞ 해역 규모 4.7, 1981년 4월 15일 포항 동쪽 65㎞ 해역에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 11·15 지진 등도 동해안과 인접한 지역이어서 해저와 연결된 단층 여부를 확인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해저 지진 단층 연구에 나서지 않아 문제의 심각성을 주고 있다.

지질연구 관계자는 “해양수산부가 관할 사업에 해저지진단층 연구를 기초사업으로 포함 시키고 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지만, 활성화 되지 않은 실정이다”고 말했다.

해저 지진은 해일이 육지에 밀려와 원전밀집지역 등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이 일본 후쿠시마 지진 때 이미 입증된 바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동부 아키타 앞바다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일본의 다른 해안지역보다 동해안이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한다.

연구를 주관한 한현철 박사는 “일본 북서쪽에서 대지진이 발생하면 엄청난 규모의 해일이 한반도 동해안까지 90분 안에 닥치게 된다”며 “특히 동해안은 수심이 깊고 해수면이 급격해 더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반도 동해안은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몇 차례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지난 1983년 일본 혼슈 아키타현 서쪽 근해에서는 규모 7.7의 지진해일이 발생했다. 그때 한반도 동해안에는 1시간 30분∼1시간 50분 동안 10분 간격으로 지진해일이 몰려와 동해안 여러 지역에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동해안의 해수면이 최고 3m 폭으로 높아졌다 낮아지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쾅’하는 폭음과 함께 수심 5m의 항구 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바닷물이 한꺼번에 빠져나갔다. 10분 후 ‘쏵’하는 소리와 함께 다시 밀려왔다. 사망 1명·실종 2명·부상 2명이라는 인명 피해와 함께 선박 81척 피해와 건물 시설 파손 100건 등 3억7천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또 93년 7월 훗카이도 오쿠시리섬 북서쪽 근해에서도 규모 7.8의 지진해일이 발생했다. 그때 울릉도·속초·동해·포항 등에서는 35척의 선박과 3천여 통의 어망·어구가 손실되는 등 3억9천만 원의 피해가 났다.

거슬러 올라가 1741년(영조17) 강원도 평해와 1940년 나진·묵호에서도 지진해일이 발생해 많은 민가와 배가 유실되는 피해가 있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는 “지표에 노출된 부분만으로 단층을 판단하는 것은 장님 코끼리 만지기와 비슷하다”며 “지진 원인과 예상 피해 정도를 제대로 알려면 단층 하나를 조사하더라도 전체 규모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해저 단층의 중요성을 알고 정밀하게 조사하고 있다. 바닷속 단층과 육지 단층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2008년부터 캘리포니아 해저면 지도 제작에 나섰다.

캘리포니아 지역은 태평양판과 북미판이 맞닿는 곳에 있다. 북쪽에는 태평양판이 북미판 아래로 들어가는 섭입대가 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