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욱부장.jpg
▲ 이종욱 정치경제부장
지난 2014년 박근혜 정부는 지역 특화전략 육성이라는 이름으로 전국 17개 광역지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문을 열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 생태계 조성 및 창조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실전 중심의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각종 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창업과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지원한다는 거창한 목표를 내세웠다.

이런 목표 아래 경북에도 포항과 구미 등 2개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생겼으며, 포항은 전국 유일의 민간자율형으로 설립됐다.

그리고 4년! 전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무엇을 남겼을까?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모두 돌아보지 못했지만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이야기들을 종합해 보면 결론은 기존 창업보육센터와 테크노파크의 수준을 넘지 못했다.

출발 선상의 목표나 운영방식 자체가 이들 프로젝트와 별반 다르지 않았기에 당연한 귀결이다.

전국 유일의 민간자율형이라는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부터 과거 프로젝트와 별반 다름없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니 나머지 관주도형 창조경제센터는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결국 창조경제센터는 과거 정부들이 추진한 TP·창업보육센터 등 유사 프로젝트들과 함께 지자체의 재정부담만 가중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포항시의 경우에도 이들 유사 기관에 매년 수백억 원의 혈세를 쏟아붓지만 아직까지 내로라할 만한 성공적인 소식을 접하기 어렵다.

여기에 지자체들이 강소기업육성·지역특화산업육성 등 이들과는 별개의 또 다른 프로젝트들을 마련하다 보니 정작 필요한 곳에 쓸 돈이 없어 전전긍긍하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7월 27일 최정우 포스코 제9대 회장이 취임하면서 포스코그룹 미래 50년을 향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듣기 위한 ‘러브레터’를 받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두가 알다시피 벤처기업이나 창업중소기업의 성공확률은 5%에도 미치지 못한다.

20개를 창업하면 19개가 실패하고, 1개 정도가 겨우 명맥을 유지하지만 창조경제센터의 지원을 받아 소위 ‘대박난 기업’은 아직 들려오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아무리 좋은 아이템이 있더라도 대부분의 창업기업들이 상업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서부터 판로확보까지 견딜 수 있는 자금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동안 마련된 창업보육센터·TP·창조경제혁신센터는 하나같이 ‘어떤 아이템이냐’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규정을 적용해 일정 한도 내의 자금만 지원하다 보니 결국 돈만 버리고 실패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

따라서 포스코가 매년 35억 원씩 ‘밑 빠진 독에 물붓기식’의 지원이 아니라 포항시와 공동으로 일정액의 펀드를 조성해 벤처창업자의 상업화 기술개발 및 판로개척에 직접 투자하는 기술펀드법인 설립을 제안한다.

즉 벤처창업기업의 제시한 아이템이 사업화가 될 경우 일정 금액이나 비율의 로열티를 받는 조건으로 지원하면 창업기업들의 최대 근심사인 자금확보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센터를 지금처럼 소속 단체에서 급여를 주는 사람들에게 맡길 것이 아니라 자체 수익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면 센터의 자생력도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포스코는 이미 오늘 제안한 내용과 비슷한 상생프로젝트를 운용하고 있는 만큼 이를 보다 더 확대 강화하는 차원에서 창조경제센터에 대한 혁신적 변화를 기대한다.

이종욱 정치경제부장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