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현장직 51시간49분 가장 높아…근무 유연성이 생산·성과 영향

지난 7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도가 시행에 들어간 가운데 우리나라 주당 평균 근무시간이 49시 55분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잡코리아(대표 윤병준)는 17일 아르바이트 대표포털 알바몬과 공동으로 직장인 1723명에 대해 ‘주간 근무시간’설문조사를 한 결과 주당 평균 49시간 55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중 근무시간이 가장 많은 직무는 51시간 49분을 기록한 생산·현장직이었으며, 연구개발·전문/특수직도 주간 근무시간이 50시간22분을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무별 근무시간을 살펴 보면 △생산/현장직이 51시간49분으로 가장 높았으며, 연구개발(50시간24분)·전문/특수직(50시간22분)·기타(50시간5분) 직무의 일주일 평균 근로시간도 50시간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주당 근무시간이 가장 낮은 직군은 43시간 59분의 TM고객상담 이었으며, 기획/인사총무(46시간13분)·IT/시스템/개발(47시간22분)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소기업이 49시간 58분으로 가장 길었고, 중견기업(48시간21분)·공기업(46시간34분)·대기업(46시간22분)의 순으로 나타나 기업규모가 커질 수록 근무시간은 줄어 들었다.

근무 유연성에 대한 질문에서 ‘휴일근로를 포함한 야근 등 연장근무 여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53.9%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고 답한 반면 46.1%는 ‘내 의사나 판단과 관계 없이 분위기 또는 방침상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답해 비슷한 비중을 나타냈다.

특히 대기업 직장인의 65.4%가 ‘개인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답한 반면 중소기업은 50.4%에 그쳐 기업유형별 근무시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또 ‘출퇴근 시간을 자유로이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79.7%가 ‘정해진 출퇴근 시간이 있어 반드시 그 시간을 지켜야 한다’고 답한 반면 ‘특정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조절하는 등 유연한 출퇴근 시간’이 주어진다는 응답은 20.3%에 그쳤다.

근무유연성에 있어서는 공기업이 28.9%로 가장 높았다.

반면 야근 자율성·출퇴근 유연성에서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던 중소기업 직장인들은 휴가 사용에 있어서는 제약이 가장 많았다.

이들은 ‘자유로이 자신의 휴가를 쓸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59.6%가 ‘많은 제약이 있어서 사실상 자유롭게 쓰지 못한다’고 답해 전체 평균 53.3%보다 약6%p, 대기업 평균 37.7%보다 약 22%p나 높았다.

잡코리아는 이같은 근무 유연성이 직원들의 생산성과 성과에 매주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근무시간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근무 유연성 응답 결과에 따라 작게는 2배에서 크게는 4배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전체 직장인 중 ‘나의 근무시간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관리된다’는 응답은 34.8%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출퇴근 시간이 유연한 직장인들에게서는 59.0%로 그렇지 않은 직장인(28.6%)보다 2배 가량 높아 전체 응답군 중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룹간 격차가 가장 컸던 항목은 휴가의 자율사용 여부로 휴가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고 응답한 그룹에서는 ‘효율적인 근무시간 활용’이 57.8%로, 그렇지 않은 그룹의 14.6%보다 4배나 높았다.

또 ‘충분한 역량발휘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도 출퇴근 유연성을 갖춘 회사일 수로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으며, 휴가 자율성에 따라서도 자유로운 휴가 사용이 가능한 그룹에서 ‘만족할만한 성과를 낸다(60.3%)’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