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기해년(己亥年)의 새날이 밝았다. 재물을 상징한다는 ‘황금돼지 해’ 기해년이 밝았지만 국가적으로는 물론 우리가 사는 경북·대구 지역의 경제가 암울한 현실이다. 미국 선거판에서 등장한 ‘바보야, 문제는 경제다(It is economy, stupid)’라는 슬로건이 지금 대한민국과 경북·대구가 처한 상황에 딱 들어맞는 화두가 아닐 수 없다. 경북·대구 2019년 화두는 오로지 ‘경제 활성화’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지난 2018년 최악의 경제 상황을 맞았던 경북도와 대구시는 올해도 전국에서 가장 경제성장률이 저조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경제가 저성장 터널에 갇힌 분위기다. 대구경북연구원의 ‘대구·경북 경제 현황과 2019년 전망’ 보고서를 보면 올해 경북지역 경제 성장률이 1.1%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대구의 경우도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1.7%다. 지난해 경북 2.1%, 대구 2.0%인 것을 감안하면 암울한 전망이다. 한국산업개발연구원(KDI)이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을 2.6%로 전망하는 점을 고려하면 경북과 대구는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KDI는 올해 전망을 하면서 경기가 지난해 정점을 지났고, 한국 경제가 사실상 경기 하강 국면에 진입했다고 했다.

이 같은 암울한 전망대로라면 올해 경제가 획기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특히 경북과 대구지역은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주력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어서 비상한 각오를 다지지 않으면 현실을 타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북의 경우 미·중 무역분쟁과 철강과 전자 등 제조업의 활력 둔화가 이어질 전망이다. 대구도 자동차부품과 섬유 등 전통적인 제조업의 부진과 건설경기 위축으로 산업 전반에 암운이 드리워져 있다. 특히 대구는 전국에서 자영업 비중이 가장 높아 전체 사업체 매출액 중 23.6%로, 전국 평균(12.2%)의 2배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전통 산업의 부진에다 도소매업, 음식점 등이 위축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이런 상황에서 최저임금 상승과 주 52 시간제가 시행되면 자영업자들이 도산 위기로 내몰려 대구 산업기반 자체가 흔들릴 것이란 전망이다.

어려운 경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냉철한 상황 분석이 있어야 한다. 경북은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저출산으로 소멸 우려되는 시군이 23개 시군의 대부분인 19개 시군이나 된다. 여기에다 진보 정권이 집권했지만 보수적 이미지가 전국에서 가장 뚜렷해서 정치적 추동력도 기대할 수 없는 지경이다. 정치지형의 변화는 공직자들의 적극적인 도전의식도 가로막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이는 경북과 대구, 이른바 TK의 공통된 정치적 도그마다.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적극적이고 강단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북의 경우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지만 일자리 창출은 그저 되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기업들에 활력을 불어넣고, 좋은 조건을 제시해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 또 포항과 같이 R&D 기반이 잘 갖춰져 있는 지역의 경우 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의 스타트업 육성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농어촌의 활성화를 위해 농어가에 높은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는 6차 산업화 전략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경북형 일자리가 창출되고 미래산업과 문화관광까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가지 새해에 가장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사항은 대구공항 통합이전이다. 아직 군위와 의성 중 이전 대상지가 하나로 확정되지 않았고, 그에 따라 이전 비용 또한 추계가 나오지 않았다. 통합공항 이전은 경북과 대구 상생의 상징일 뿐 아니라 뉴딜사업으로 경북과 대구 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최고의 사업이다. 지역의 역량을 결집해 올해는 첫 삽을 떠야 한다.

대구는 미래산업 육성에 올인 하다시피 해야 한다. 권영진 시장이 신년 인사에서 한 말처럼 ‘할 수 있다’는 자신감만 가지고는 안 된다. 그동안 착실히 추진해 온 산업구조 혁신을 가속화 해야 한다. 대구시가 신성장 산업으로 역점 추진 중인 미래차 산업에 전폭적인 지원으로 속도를 내게 해야 한다.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완성차와 자동차부품 산업에 5조 원을 투입해 일자리 4600개를 창출하기로 한 것에 대구시가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대구시가 추진 중인 자율주행차 분야에 3조9000억이 투자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전략적 대응으로 대구가 신성장 산업 육성의 모범 도시가 돼야 한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민의 힘의 결집이다. 특히 경북과 대구는 한뿌리 경제권으로 상생할 부분은 상생의 틀을 더욱 강화하고, 경쟁할 것은 선의의 경쟁을 벌여야 두 도시가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올해는 경북대구 공동 관광기금 조성, 공무원교육원 통합, 혁신인재 양성 프로젝트 공동추진, 상생장터 개설 등을 전개하는 실질적인 경북과 대구의 상생협력 원년이다. 경북과 대구가 중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비전과 전략을 세우고 함께 갈 로드맵을 만들어 TK의 잃어버린 ‘대한민국 중추’ 역할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세밑에 가진 도정 브리핑에서 올해 신년 화두로 ‘환경 변화에 맞춰 변해야 산다’는 ‘환골탈태(換骨奪胎)’로 잡았지만 이 환골탈태 또한 궁극 목표는 오로지 경제 활성화여야 한다. 또한 ‘변화만이 경북의 살길’ 이라 했지만 실질적인 살길은 산업을 일구고 고용을 창출하는 경제의 활성화에 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문제는 경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